[뉴스포커스]국내 IGCC 시장 활성화 하려면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태안 IGCC CO₂예상 저감량

 화력발전 의존도가 절대적인 국내 발전회사들은 IGCC에 대한 기대가 크다. 설비 규모와 효율 면에서 태양광·풍력을 능가하면서 기존 자원수급 채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복합화력 시설의 IGCC 전환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전력을 중심으로 발전 5사가 IGCC 컨소시엄에 합류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최근 발전회사들은 IGCC 육성 행보를 본격화하면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몇몇 제도가 IGCC에 상대적으로 불리하고 시장성장 제한 요소가 있다는 해석이다.

 발전회사들은 대표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관련 IGCC의 에너지원별 가중치가 가장 낮다는 점을 성장 저해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정부 RPS 운영지침에 따르면 IGCC의 가중치는 0.25다. 태양광 0.7~1.5, 바이오매스 1.5, 해상풍력 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같은 1㎾h의 전력을 생산하더라도 해상풍력은 이를 2배로 인정하는 반면 IGCC는 4분의 1만 인정하는 셈이다. 여기에 IGCC에는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에는 없는 전체 신재생 발전의 10% 이하만 허용이라는 한계치까지 적용받고 있다.

 당장 내년부터 RPS 시행으로 총 발전량의 일정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채워야하는 발전회사 입장에서 이는 치명적이다. 300㎿ 규모의 대용량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실증작업을 전개하면서도 이를 마음 놓고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IGCC의 신재생에너지 여부 논란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다. 타 발전업계와 정부 일각에서는 화석연료 사용과 포집 탄소의 매립비용 상계를 근거로 IGCC가 신재생에너지로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펼치고 있다. 이에 발전회사들은 가스화된 석탄이 연소되기 전 처리로 이산화탄소 분리 포집이 용이하고 실증플랜트로 추진 중인 태안 IGCC가 완공되면 기존 화력보다 5% 탄소저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근거를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속도조절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IGCC가 자칫 태양광·풍력 시장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고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실상 중소기업들의 진출이 불가능한 규모라는 점에서다.

 강남훈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에너지정책관은 “IGCC의 신재생에너지 가중치를 늘릴 경우 발전회사들은 더이상 태양광과 풍력을 할 이유가 없어질 것”이라며 “다른 신재생에너지의 균형성장 면에서도 IGCC의 가중치 조정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표>태안IGCC CO₂ 예상 저감량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