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업기술박물관 짓는다

 정부가 연면적 3만평 규모의 IT, 전자산업 등을 아우르는 산업기술박물관을 건립한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자동차·반도체·LCD·휴대폰·조선 분야에서 세계적인 산업기술 강국으로 도약했음에도 산업기술 발전사를 국민에게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산업기술 문화 공간이 없었다.

 지식경제부는 산업기술박물관 건립을 위한 기초 연구용역 사업을 상반기 종료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반기 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이르면 2013년께 예산 반영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내년 초 신청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정부는 산업기술박물관 건립 예산을 부지 매입비용을 빼고도 시공비 약 5000억원, 자료수집비 약 400억원 등 총 54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산업기술박물관 규모는 연면적 3만평에 건축면전 7000평 규모로 잠정 잡아놨으며 입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산업기술박물관이 건립되면 국민에게 우리나라 경제를 이끈 간판 산업기술의 역사와 가치를 한눈에 파악하고 생생한 체험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외국인에게도 우리 기술의 발전사와 우수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홍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산업기술사 정리와 산업기술 유물 보존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1955~1998년 개발한 252개의 산업기술사물 중 유실 7%, 유무파악 곤란이 35%가량 된다”며 “산업기술 발전의 주역 세대가 사라지기 전에 박물관을 건립해 국내 산업기술사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산업기술혁신촉진법개정안의 국무회의 의결로 산업기술박물관을 짓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며 “접근성이 좋으면서 국가가 소유한 토지를 산업기술박물관 입지로 선택하기 위해 후보지 몇 곳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