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 간 나오토 일본 총리는 22일 제4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고 최근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위기 등을 감안, 원자력 안전과 재난관리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3국 정상은 이날 도쿄 게이힌칸에서 정상회의를 열고 일본 대지진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표한 뒤 3국 협력이 지역 및 세계 평화와 안정, 번영에 기여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담은 정상선언문과 부속문서를 채택했다.
부속문서는 △원자력 안전 △재난 관리 △재생에너지·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한 지속성장 3가지 분야 협력 사안을 담았다.
3국 정상은 원자력 안전 문제와 관련해 비상시 조기통보 체제를 구축하고 사고시 기류 분석 및 예측 정보를 교환하는 등 정보를 공유하는 한편, 전문가간 협의도 강화하기로 했다. 재난발생시 신속한 정보 공유 및 피해복구 지원, 재난관리 훈련 등도 협력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3국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산·관·학 공동연구 조기 완료, 투자협정의 조기 체결, 대학간 상호 학점 인정 및 공동 학위과정 개설, 연내 협력사무국 개설 추진 등에도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중일은 지리적으로 가까워 한 나라의 원전사고나 재난은 세 나라 국민 모두에게 실질적이고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상호 정보교환 등 제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은 중요한 성과”라며 “올해 서울에 설치될 3국 협력사무국은 교류와 협력 증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3국 정상은 이번 4차 회의를 통해 한중일 정상회의가 최고위 정례협의체로 정착됐다고 평가하고 내년 5차 정상회의를 중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이날 일본 게이단렌 등 3국 경제단체들이 주관한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녹색성장과 개발의제 등 전 지구적 문제에 3국 경제인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3국 정상과 경제인들은 우리나라가 설립한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를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일본은 GGGI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 기여금을 출연했으며, 중국은 GGGI와 ‘산동지역 저탄소 발전 전략’ 연구를 시작했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