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조사결과, ‘편두통 질환’ 전체 환자 4명 중 3명이 여성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www.nhic.or.kr)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편두통(G43)질환’의 진료환자가 2006년 39만7천명에서 2010년 62만2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4년간 56%증가하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환자가 많고, 연도별 추세는 남성은 11만명(2006년)에서 17만명(2010년)으로 1.5배, 여성은 29만명(2006년)에서 46만명(2010년)으로 1.6배 증가하였다.

2010년을 기준으로 ‘편두통(G43)질환’으로 진료받은 남성은 40대(31,052명) > 30대(28,391명) > 50대(28,277명) 순(順)이고, 여성은 40대(97,355명) > 50대(95,313명) > 30대(73,317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편두통(G43)질환’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를 분석한 결과, 전북 1,689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대전 1,654명, 대구 1,461명 순(順)이었고, 광주가 1,096명으로 가장 적었으며, 인천 1,103명, 강원 1,161명 순(順)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여부에 따른 ‘편두통(G43)질환’ 진료환자를 연령별 10만명당 환자수로 환산하면, 여성근로자는 20대가 1,535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178명, 30대 1,148명, 50대 1,114명, 60대 830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여성 비근로자는 50대 2,181명, 40대 1,984명, 20대 1,583명 30대 1,581명, 60대 1,230명 순(順)으로 나타났는데, 여성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20대는 비슷하나 30대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진료인원의 차이가 벌어졌다.

요양기관종별로 ‘편두통(G43)질환` 진료환자는 의원급에서 많았다. 의원급 환자는 28만1천명(2006년)에서 47만8천명(2010년)으로 1.7배 증가하였고, 종합병원은 5만명(2006년)에서 6만6천명(2010년)으로 1.3배 증가, 병원은 3만7천명에서 5만명(2010년)으로 1.4배로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전문의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질환의 증가원인에 대해 편두통은 다른 두통과는 다르게 개인의 타고난 소질에 의해 많은 부분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결과가 편두통이라는 질환의 절대적인 증가를 나타내는 결과라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한 편두통환자가 증가했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1999년의 한 연구를 참고해서 추정해 볼 때 ‘수면 장애와 피로’가 가장 흔한 요인이다.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로 현대 사회 또는 현재 우리나라의 과도한 경쟁 분위기와 이로 인한 수면장애,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또한, 게임이나 과도한 컴퓨터 작업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밖에도 여성들의 편두통의 경우 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영향이 있어 월경이나 피임약 복용시 에스트로젠의 농도가 감소하면서 심한 편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편두통 예방 및 관리요령은 우선 자신의 편두통 악화 요인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악화 요인으로는 수면장애, 피곤, 스트레스 외에도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등이 있을 수 있다.

음식과 같이 피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고, 월경과 같은 피할 수 없는 요인이 있는 경우는 예방약을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경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그 밖에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평소에 치료해 두는 것이 좋다.

<재난포커스(http://www.di-focus.com) - 이정직 기자(jjlee@di-f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