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중앙부처 및 각급 지자체 내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종전 299명에서 연내 360명 수준으로 늘리면서 연 4회 이상 모의훈련을 실시해 위기 대응 능력을 키운다. 또 시·도 소속기관에 PC 해킹 탐지·차단 시스템을 설치하는 등 보안 능력을 한층 강화한다.
행안부는 26일 한국정보보호학회가 주최한 ‘그린-IT 융합보안 워크숍’에서 ‘스마트 행정서비스 보안대책’ ‘모바일 보안 인프라 구축 방안’ 등을 발표하면서 이 같은 내용의 보안 능력 강화대책을 밝혔다.
장광수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은 이밖에도 “지난 3월 구축한 모바일 앱 보안성 검증체계를 가동, 6월까지 20개 서비스를 대상으로 시범검증에 들어간다”며 “이와 더불어 앱 검증 서비스를 오는 8월 오픈하는 등 안전한 모바일 보안 인프라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오는 9월 시행 예정인 개인정보보호법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사고도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기존 개인정보보호법 적용 대상인 51만개 사업자를 공공·민간 포함해 150만개 사업자로 늘려 개인정보보호의 테두리를 넓힐 방침이다. 또 지난해 2만5000개 공공기관 등에 적용되던 개인정보 노출 조기경보 서비스 범위를 올해 안에 백화점 등 민간 35만개 사업자로 확대할 계획이다. 공공기관 대상 아이핀 적용도 늘려 현재 4066개 수준을 오는 2012년 9328개로 확대키로 했다.
이와는 별도로 행안부는 방통위, 외교부 공동으로 오는 9월 7~8일 양일간 ‘APEC 사이버테러 대응 세미나’도 개최한다. 이 행사에선 미국, 싱가포르, 일본, 베트남 등의 국가 실무책임자가 참석, 아시아 전체 사이버테러 대응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벌일 예정이다.
장윤정기자 linda@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