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우리나라 R&D(연구개발)가 성공하려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인재에 대해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7일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R&D 포럼 2011`에 참석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박 교수는 하버드대에서 화학 및 화학생물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단분자 트랜지스터를 고안해 내는 등 두각을 보여 김필립 컬럼비아대 교수와 함께 우리나라 노벨상 후보로 언급되는 유망한 과학자다.
그는 "우리나라 R&D는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큰 프로젝트가 정해지면 그에 맞춰 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구조로 인해 R&D의 50%는 대기업이 맡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때문에 연구개발의 R(Research)보다는 D(Development), 즉 연구보다는 개발에 치우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박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애플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새로운 것을 만드는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나오려면 새로운 생각을 하는 개인에 투자하는 환경과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어 우리나라 나노테크놀러지 R&D는 미국에서 2년 전에 했던 것을 따라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언제나 R&D의 화두를 잡을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도 이제 발전했으니 남들이 만들어 놓은 어젠다를 따라 하기보다는 일정 분야에서 리드해야 한다"고 말했다.
R&D의 화두를 만드는 것이 완전한 무(無)에서 유(有)를 만드는 것은 아니라고 박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세상에 없는 전혀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생각을 바꾸는 것, 조금 앵글을 바꿔 생각하는 것이 화두를 만드는 생각법"이라고 설명했다.
생각의 전환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든 예로 박 교수는 애플의 아이패드를 들며 "우리나라 기업이 기술이 없어서 아이패드를 만들지 못한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생각을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이제 R&D의 10%는 새로운 화두를 만드는 데 투자를 해야 하며, 그렇게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내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도 한결 쉬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