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신문은 15일 자체 조사한 자료를 인용, 애플 아이폰4의 전자파흡수율이 삼성전자 갤럭시S2에 비해 최대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특히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휴대폰 업체들 대다수가 홈페이지에 전자파흡수율 수치를 기재하지 않아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출시된 주요 스마트폰의 전자파흡수율(SAR∙Specific Absorption Rate) 수치를 조사한 결과 전자파흡수율 수치가 가장 높은 스마트폰은 HTC의 디자이어HD(1.32)였고 센세이션(0.414)이 가장 낮았다.
애플 아이폰3GS와 아이폰4는 각각 1.13과 0.875를 기록해 국산 스마트폰보다 상대적으로 전자파흡수율이 높았다. 아이폰4는 삼성전자 갤럭시S2(0.429~0.667)에 비해 최대 2배가량 전자파흡수율이 높았다. LG전자 스마트폰 중에서는 옵티머스빅(0.566)이 가장 낮았고 옵티머스2X(0.805)는 전자파흡수율이 높았다. 팬택도 베가레이서와 베가X의 전자파흡수율이 각각 0.555와 0.933으로 나타나 같은 제조사의 제품이라도 큰 차이를 보였다.
이번에 공개된 휴대폰 전자파흡수율은 각 업체들이 제품 출시 전 정부가 공인한 국내 사설시험기관에서 측정을 한 뒤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전파연구소에 제출한 것이다.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자파흡수율 기준치는 미국, 캐나다, 대만 등과 같은 1.6W/kg다. 인체 체질랑 1kg당 1.6W의 전자파가 흡수된다는 의미다. 신문은 "보통 1kg의 인체 체질량에 4와트의 전자파가 전해지면 체온이 1도 정도 올라가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그렇다고 전자파흡수율 수치가 높은 것이 무조건 유해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전문가들은 신문과 인터뷰에서 전자파흡수율은 전파가 가장 약한 약전계(弱電界)에서 기기에 부하를 최대한 걸어 측정한 최대값을 기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주변 전파환경이나 장애물 등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국내 휴대폰 제조사들은 각 제품의 전자파흡수율을 홈페이지에 표시하고 있지만 글로벌 업체들은 이를 따르지 않고 있다. 의무사항이 아닌 권고사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지난달 31일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휴대전화를 사용할 경우 뇌종양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밝혀 세계적인 관심을 끈 바 있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복사 에너지(Radiation)가 발암성 위험(carcinogenic hazard)과 같은 리스트에 포함됐다. 이는 납, 엔진 매연, 클로로포름(마취제의 일종) 등과 같은 등급으로, 신경교종(神經膠腫)이나 청신경종(聽神經腫) 암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증거를 찾았다는 의미다. 그러나 이 외에 다른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 - "휴대폰이 발암물질로 분류?" WHO, 암발생 위험 공식 경고 논란
http://www.etnews.co.kr/201106010011
trend@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