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협력 지역특화로 진화] <3>이낙규 경기본부장 “경기본부를 산업융합의 메카로"

[산학연협력 지역특화로 진화] <3>이낙규 경기본부장 “경기본부를 산업융합의 메카로"

 “컴퓨터 기업이던 애플은 휴대폰 기능에 ‘소통’을 더해 앱을 개념화함으로써 소통의 장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것이 바로 애플이 촉발시킨 산업융합입니다. 앞으로는 정보기술(IT) 중심의 융합에서 보다 확장된 산업융합 시대로 갈 것입니다.”

 이낙규 생기원 경기지역본부장은 본부 역할을 설명하면서 ‘융합’이라는 단어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융합은 기존 선진국과 최근 급성장한 중국의 틈바구니에서 우리가 살아나가기 위한 돌파구라는 게 요지였다.

 “생기원은 바이오나노기술이나 플렉서블 태양전지 등 중소기업이 쉽게 접근하고, 상품화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에 초점을 맞춰 차별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2013년 7월 완공을 목표로 건평 3000평 규모의 융복합연구지원센터를 건축 중입니다.”

 이 본부장은 이를 위한 비전도 제시했다. 바로 경기지역본부를 ‘국가 산업융합 메카’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산업융합촉진법을 제정해 산업융합을 집중 육성하려는 정부 어젠다에 부응하는 동시에 곧바로 상용화할 수 있는 산업융합기술을 개발해 상대적으로 변화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이를 ‘중소기업형 산업융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경기지역본부에서는 원천기술 개발은 물론 이를 이용한 중소기업형 산업융합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지원에 초점을 맞춰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커넥트&디벨로프먼트’라는 개념을 도입키로 했다. 이는 미국 P&G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사용자 아이디어를 제품 개발에 적극 활용하는 개념이다. 기존 ‘리서치&디벨로프먼트’ 개념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는 경기지역본부가 안산지역에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그는 “안산은 한양대와 경기테크노파크 및 시험원과 해양연구원·LG이노텍 등이 입주해 있고, 주변에 시흥·반월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돼 안산사이언스밸리라 불리는 산학연 클러스터가 잘 조성돼 미래산업 메가트랜드인 산업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고 설명했다.

 그는 “경기지역이 워낙 방대하고 전 산업분야가 고르게 분포해 있는데다 전자·통신 등 첨단산업 분야의 경우 전자부품연구원과 ETRI 등이 잘하고 있다”면서 “경기지역본부는 안산을 중심으로 하고, 대진테크노파크 및 광교테크노밸리·서울테크노파크 등 주변기관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경기 산업융합벨트를 구축하는 형태로 국가 산업융합의 구심점이 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순기기자 soonkkim@etnews.com

[산학연협력 지역특화로 진화] <3>이낙규 경기본부장 “경기본부를 산업융합의 메카로"
[산학연협력 지역특화로 진화] <3>이낙규 경기본부장 “경기본부를 산업융합의 메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