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전력피크치를 경신할 때마다 정부의 관심은 공급예비력에 초점을 맞춘다. 올해 1월 17일 7313만㎾로 역대 최대 전력피크를 경신했을 때도 언론에선 공급예비력이 404만㎾에 불과하다며 위기상황을 알렸다.
공급예비력이란 현재 국내 발전소들이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전력량에서 소비전력량을 뺀 나머지 공급 가능 전력 여유분으로 가늠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일반적으로 공급예비력이 500만㎾ 이하로 떨어지면 정부는 수급위기 상황으로 판단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 최근 십년간 공급예비력이 500만㎾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7년 8월과 2010년부터 지난 1월 전력피크까지 총 5회다. 정부는 이번 여름철 공급예비력을 450만㎾ 이상 확보한다는 계획이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공급예비력은 발전설비 고장이나 수요예측 오차 등을 감안해 정한 수치로 예비력이 당초 정한 확보 예상치보다 떨어진다고 해서 정전사태가 발생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공급예비력이 500만㎾ 이하로 떨어지면 정부는 전력수급대책기구를 운영해 준비단계에 들어간다. 이 단계에선 계획 중인 발전정지 및 시운전발전기 시험일정을 조정해 공급능력을 확보하고 기업 및 전력 과소비 시설물의 전력감축량에 대해 일정 보상을 해주는 식으로 수요관리를 시작한다.
400만㎾ 이하부터는 수급 경보를 발령한다. 이때부터는 국내에서 가동이 가능한 모든 발전기를 가동하는 것은 물론이고 출력상승까지도 진행한다. 이와 함께 배전용변압기의 전압을 조정하고 사전 약정된 기업들이 스스로 전력사용 감축에 들어간다. 이를 통해 약 300만㎾에 달하는 예비전력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
공급예비력 200만㎾는 전력수급의 마지노선으로 이마저 무너지면 정부가 전력수요에 직접 개입한다. 전기품질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배전용 변압기의 전압을 추가적으로 낮추고 사전 약정된 고객의 부하를 직접 제어해 약 150만㎾의 예비전력을 확보한다. 이 단계에서는 발전기 하나가 운전을 정지해도 전력대란이 올 수 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