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2년 28억원, 2015년 62억원, 2020년 117억원….`
KAIST 나노종합팹센터가 예측한 적자폭이다. 전국 6대 나노인프라 가운데 가장 이용자가 많고 수익이 큰 기관이지만, 현재대로라면 미래는 어둡다. 나머지 전국 나노인프라의 사정은 더욱 어렵다.
나노종합팹이 그린 생존 시나리오에 따르면, 5년 내 팹 자체의 존속여부는 불확실한 것으로 진단했다. 물론 장비 고도화와 선행공정개발 관련 정부지원이 미흡할 경우를 가정한 예상이다.
기관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는 운영비 부족과 장비교체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노종합팹은 내년 4월부터 정부의 운영지원 예산을 받지 못한다. 나노장비 수명은 통상 5~6년, 아무리 길어도 10년이다. 장비가 노후화되기 시작하면 당연히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고 고객의 수요가 준다. 수요가 줄어들면 재정이 악화되는 악순환의 고리가 시작된다.
나노인프라 기관들은 이러한 점을 가장 두려워한다. 기관 설립기준으로 보면 가장 빠른 나노종합팹이 2002년이다. 나노기술집적센터는 2004년부터 설립에 들어갔다. 사업(장비투자)종료 시점도 2008~2011년이다. 2008년 장비투자가 종료된 대구나노융합실용화센터는 이르면 2013년부터는 장비 교체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다.
공정기술 개발비 및 장비성능 유지보수비 부문도 정부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립화만 주장해 이용료를 너무 비싸게 책정할 경우 연구자로부터 외면받을 수 있다.
나노기술 관련 대형 국책사업을 나노인프라와 연계한다면 일부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교과부가 추진하는 글로벌 프론티어사업을 예로 제시했다.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 등 최근 제안요청서(RFP)를 공고한 6개 과제가 모두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과제에서 장비서비스나 상용화 기술개발 등을 위해서는 나노인프라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에 설립될 캠퍼스 및 연구단에도 나노인프라를 포함시킬 것을 주문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대형 국책사업 수행을 위해 필요한 장비와 공정기술이 나노인프라에 구축될 수 있는지를 고민해 왔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립화 방안을 기계적으로 해석하지는 않을 계획이고, 산업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정부가 만든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초대 회장을 맡은 이귀로 나노종합팹센터장은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기 전에 예방책을 세워야 한다”며 “정부는 정부대로, 나노인프라 운용기관은 기관대로 자구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국내 나노인프라 구축 현황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나노인프라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