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보트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국내서 CMP 슬러시 생산 나선다

 윌리엄 빌 노글로우스 캐보트마이크로닉스 회장, 유연채 경기도 정무부지사, 이완희 평택시 부시장 (왼쪽 5번째부터 오른쪽으로) 등이 평택 오성산업단지 내 CMP 슬러리 공장 준공식에서 테이프를 커팅하고 있다.
윌리엄 빌 노글로우스 캐보트마이크로닉스 회장, 유연채 경기도 정무부지사, 이완희 평택시 부시장 (왼쪽 5번째부터 오른쪽으로) 등이 평택 오성산업단지 내 CMP 슬러리 공장 준공식에서 테이프를 커팅하고 있다.

 세계 반도체 웨이퍼 평탄화 소재(CMP 슬러리) 1위 업체인 캐보트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국내에 생산과 연구개발 거점을 마련했다. 해외 CMP 슬러리 업체가 국내에 생산 공장을 건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캐보트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25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산업단지 내 2000여평 규모 반도체 CMP 슬러리(반도체 원판 평탄화 작업용 액체) 및 패드 제조공장과 연구센터 준공식을 개최했다.

 준공식에는 유연채 경기도 정무부지사, 이완희 평택시 부시장, 윌리엄 빌 노글로우스 캐보트 회장,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관계기관 임직원 등 약 50여명이 참석했다.

 캐보트는 지난해 9월 경기도투자유치단과 반도체 CMP 공정용 생산시설 설립에 대한 투자협약을 체결한 이후 1200만달러(130억원)를 투입, 1년여 만에 공장을 완공했다. 이 생산 공장은 다중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선별적으로 연마할 수 있는 ‘세리아 연마제(Seria Slurry)’를 다음달부터 생산한다. 세리아 연마제는 실리콘 연마제나 메탈 연마제 등 다른 CMP 연마제에 비해 연마율이 높아, 나노급 반도체 공정에 적용된다.

 그동안 미국 본사에서 전량 생산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업체에 공급해왔으나 공장 설립으로 국내 생산으로 전환하게 됐다. 연간 생산규모는 약 500톤으로 향후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국내는 물론 일본, 대만 등 아·태지역까지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CMP 패드’도 함께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공장과 함께 세운 연구센터는 미국 본사 연구소와 대만, 싱가포르, 일본 연구센터 등과 ‘R&D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해 공동으로 신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빌 노글로우스 회장은 “세계 메모리 선두기업들인 한국 고객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생산거점과 연구센터를 세웠다”며 “20나노급 이후 미세공정 개발과 300㎜ 웨이퍼 적용 등 신기술 개발에도 공동 참여하는 한편 한국 법인에 대한 투자도 계속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캐보트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반도체 CMP 공정용 무기 화합물과 패드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화학회사인 캐보트 사업부에서 지난 2000년 독립했다. 전 세계 CMP 슬러시 시장의 40%를 점유하는 1위 기업으로 매년 연구개발에만 5000만달러를 투자하는 등 신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용어설명: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를 연마 패드 위에 접촉, 연마제(슬러리)를 공급해 웨이퍼 표면 요철 부분을 평탄화하는 공정이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