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캠퍼스 조성 놓고 GIST-지역대학 `대립각`

 호남권 과학비즈니스벨트 캠퍼스 조성사업을 놓고 지역대학들끼리 힘겨루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6000억원의 사업예산과 5개 연구단 유치를 사실상 확정한 GIST는 지난달부터 전담인력을 교육과학기술부 기초과학연구원 TF팀에 파견, 향후 추진방향을 조율 중이다. 과학벨트가 계획대로 GIST에 들어서면 기초연구지원단 5개와 대형시설 및 최신 장비, 정주여건 등 연구 인프라가 대폭 강화된다.

 GIST는 정부 추진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치열한 유치과정에서 비교적 손쉽게 월척을 거머 쥔 GIST는 ‘표정관리’에 신경을 쓰는 눈치다.

 이에 반해 전남대와 조선대는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이들은 기초학문관련 대학 참여를 배제한 과학벨트 추진은 미래 가능성과 경쟁력보다는 정치적 판단과 편리성을 앞세운 ‘반쪽짜리 벨트’라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과학벨트 사업이 GIST 등 5개 과학기술특화대학 중심으로 추진된다면 기존의 기술개발·응용연구사업과의 차별화가 없을 뿐 아니라 지역 산업특성에 맞는 연구개발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 실제 지난달 30일 광주시, 전남대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테크노파크에서 열린 ‘과학벨트 지역발전 연계 방안 토론회’에서는 ‘연합캠퍼스 조성’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신용진 조선대 자연과학대학장은 “첨단산단에는 출연연구소, 국책연구기관, 전남대, 조선대 등 우수한 연구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다. 하지만 과학벨트 추진은 GIST 위주로만 구성돼 있다”며 “광주·전남지역 대학들이 연구단을 구성해 연구성과를 활용하는 ‘GIST 연합캠퍼스’를 조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GIST 연합캠퍼스를 주장하는 전남대와 조선대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광주시와 GIST에 대한 서운함이 깊이 배어있다.

 과학벨트 호남유치위원회 활동에 앞장선 이들 대학은 유치활동을 열심히 도왔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예산이 모두 GIST 몫으로 돌아가자 ‘닭 쫒던 개 지붕 쳐다보는 격’이 됐다.

 이에 따라 전남대와 조선대는 지역대학과 함께 가칭 과학벨트 광주·전남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한편 전국자연과학대학학장협의회와 연계해 연합캠퍼스에 대한 당위성을 설파할 계획이다. 연합캠퍼스 구축이 백지화된다면 실력행사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7일 교과부 정경택 과학벨트추진단장과의 면담을 통해 ‘과학벨트 지역상생안’을 건의할 예정이다.

 허민 전남대 자연과학대학장은 “광주·전남지역에 기초과학 관련해 이미 1500여명의 교수와 6만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라며 “GIST 등 과학기술특화대학 중심으로 기초학문을 재정비하게 되면 기존 대학의 공동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GIST는 독단적이 되어서는 안된다”며 “광주는 R&D특구 등 좋은 여건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지역산업과의 연계 및 연구결과의 지역내 파급을 위한 협력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GIST 관계자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예산이나 연구인력 충원 등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공식적인 답변이 어렵다”며 “기초과학연구원장이 취임하면 후속대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