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CSR, 사회적기업으로 업그레이드

SK그룹이 지원하는 청소년 전용 지역아동센터인 1318해피존에서 학생들이 사물놀이를 배우고 있다. 1318해피존에선 청소년 교육은 물론 지도교사 등 사회적 일자리가 생겨난다.
SK그룹이 지원하는 청소년 전용 지역아동센터인 1318해피존에서 학생들이 사물놀이를 배우고 있다. 1318해피존에선 청소년 교육은 물론 지도교사 등 사회적 일자리가 생겨난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대기업의 사회적기업 운영현황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강조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CSR에 대한 기업의 인식도 높아져 많은 기업들이 기부와 장학재단설립, 메세나 등 다양한 형태로 CSR을 실천하고 있다.

 최근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CSR 모델은 사회적기업이다. 사회적 기업이란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주로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다양한 사회 서비스를 지원한다.

 대기업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은 정부와 기업, 지자체, 시민단체 등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함께 취약계층의 일자리 및 자립기반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최근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을 계기로 정부와 기업, 시민단체가 적극 나서 다양한 사회적기업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사회적기업의 선두주자는 SK그룹이다. SK그룹은 행복도시락, 행복한 학교, 행복한도서관 등 직접 설립했거나 지원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69개에 이른다.

 행복도시락은 결식아동과 저소득층 노인에게 무료로 급식을 제공하는 사회적기업이다. 실업 해소를 위해 조리원과 배달원 등 근로자는 취약계층 중에서 고용한다. 정부는 행복도시락에 취업한 조리원과 배달원의 임금을 지원하고, SK그룹은 행복도시락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댄다. 정부와 기업의 우수 협력모델로 꼽힌다.

 행복한 학교는 SK그룹과 서울·부산·대구 등 각 지자체, 여성인력개발기관이 함께 설립한 사회적기업이다.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담당한다. SK그룹은 행복한 학교 재단 출연금과 학교 운영을 맡고 정부와 지자체는 방과 후 교사 인건비를 지원한다.

 SK그룹은 또 법무부와 함께 출소자의 자립과 사회복귀를 돕는 사회적기업 행복한뉴라이프재단도 설립했다. 올해 안에 세탁공장 등 다양한 사업장을 열어 출소자들이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사회적기업 메자닌아이팩을 통해 새터민과 저소득층의 박스 생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또 다른 사회적기업 카페티모르는 동티모르 현지 커피생산농가의 공정무역 커피를 구입해 취약계층의 자립에 도움을 주고 있다.

 삼성그룹 역시 희망네트워크와 글로벌투게더음성 등 7개의 사회적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총 400명의 사회적기업가를 양성할 계획이며 사회적기업 관련 사업에 총 2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희망네트워크는 지역아동센터를 지원하는 사회적기업으로 현재 서울과 경기도 2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사례관리와 야간보호, 문화예술, 철학교실 등 4개 분야의 전문교사들이 지역아동센터에서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투게더음성은 다문화가족 지원회사다. 현재 충북 음성 1곳에 설립돼 있으며 향후 회사를 추가 설립할 계획이다.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취업 및 창업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중언어교육 등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그룹은 성균관대, 경기도와 함께 사회적기업가 양성 아카데미도 운영하고 있다. 2년간 총 400명을 교육할 계획으로 성균관대 수원캠퍼스에 사회적기업가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경기도와 함께 수료자를 대상으로 사회적기업 창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LG그룹은 50억원을 출연해 충북에 장애인 재활 지원 시설인 보람동산을 설립해 지자체에 기부 체납했다. 보람동산에는 장애인 80여명이 근무하는 보람근로원이 운영되고 있으며, LG생활건강 등 계열사 거래를 통해 보람근로원의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연간 3억원의 기부금을 지급하는 등 재정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이밖에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도 사회적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기업, 지자체가 함께 저소득층의 생계와 교육 등을 담당하는 사회적기업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와 기업, 지자체, 시민단체가 각각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뜻을 모아 서로의 장점을 살린 사회적기업을 만든다면 어려운 이들의 성공적인 자립에 큰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적기업은 저소득층이나 장애우 등 취약계층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는데 큰 도움이 된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따르면 2011년 7월 현재 총 572개의 사회적기업이 인증을 마쳤다. 이중 사회적일자리를 목적으로 설립된 곳이 전체의 59%, 사회적기업의 유급근로자수가 기업당 23.7명에 이를 정도로 일자리창출 효과가 뛰어나다.

 인명진 사회적기업활성화포럼 대표는 “취약계층의 자립을 위한 지원을 정부나 기업이 독자적으로 다 할 수는 없다”며 “취약계층의 아이디어와 능력을 생산성으로 연결할 수 있는 사회적기업이 진정한 복지”라고 말했다.

 인 대표는 “일부 기업이 사회적기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라며 “더 많은 기업의 참여와 설립된 사회적기업의 유지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진욱기자 jjwinw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