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채용 과정에서 학력, 성별 등에 따른 차별을 없애면서 `열린 채용`에 나서고 있다.
능력 위주의 인재 선발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기업의 고졸 또는 여성 채용 비율이 서서히 늘어나고 있다.
또 장애인 고용을 늘리는 기업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채용 법정 기준(상시근로자의 2.3%)에 미달하는 기업수도 적지 않은 점은 개선 과제로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누구에게나 공평한 지원 기회를 주기 위해 30대 그룹 가운데 유일하게 별도의 서류 전형없이 공채를 하고 있다.
지원자격으로 제시하는 학점(평점평균 4.5점 만점에 3.0 이상)과 영어회화 성적을 갖추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삼성 측은 지난해에만 인턴을 포함해 10만명 이상이 삼성 직무적성검사인 SSAT에 응시해 100개대 출신이 시험을 통과했고,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지방대 출신 비율이 28%에 달했다고 밝혔다.
여성 채용 비율도 해마다 증가해 2009년 21%에서 지난해 26%로 늘었고 올해는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고졸 직원도 8천여명 별도 선발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하반기에 작년 대비 21% 증가한 3천980여명을 채용하는데, 이 가운데 고졸 채용을 850여명으로 크게 늘릴 계획이다.
작년 하반기 고졸 채용 비율은 0.3%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21.4%로 대폭 상향 조정됐다.
현대차는 또 맞춤형 기술인력 육성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이스터고 학생을 선발하는 등 산학협력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올해 5천명이 넘는 사상 최대 인원 채용에 나선 SK도 고졸, 지방대 출신 등을 적극적으로 선발하고 있다.
SK그룹은 올해 지방대 채용설명회를 기존의 2개 대학에서 7개로 확대 운영하고 있고,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해 서류전형 등에 가점을 부여하고 있다.
그룹은 학력이 아닌 능력 위주의 채용을 한다는 원칙에 따라 올해 전체 채용 규모의 20%를 고졸 출신으로 뽑을 방침이다.
LG그룹의 경우 올해 총 8천400명 선발하는 기능직에서 50% 이상을 고졸 인력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LG전자와 LG이노텍은 마이스터고인 구미전자공고와 협약을 맺어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포스코는 고졸 사원 채용 규모를 연초 계획보다 300명 늘려 하반기 총 채용인원 2천795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천215명을 고졸로 충원하기로 했다.
GS그룹의 계열사 GS리테일은 매년 분기별로 고졸 사원 공채를 하고 있으며, 여성근로자 채용을 지속적으로 늘린 GS샵의 경우 여성 비율이 2008년 33%, 2009년 35%, 지난해 36%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정규직 근로자의 대다수가 전문 엔지니어나 사무직이라는 업계 특성상 그동안 고졸자의 정규직 채용을 기피했지만 최근 `열린 채용`이라는 사회적 트렌드에 발맞춰 조금씩 문호를 넓히는 모습이다.
대우건설은 하반기 공채에서 사상 처음으로 고졸 사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구체적인 채용 규모와 선발방식을 논의 중이다.
현대건설도 하반기 신입사원 모집에서 최초로 장애인을 정규직으로 선발하며, 학력 제한 없이 인턴사원을 뽑아 이 중 유능한 인재는 정규직으로 선발하기로 했다.
조선ㆍ중공업계 역시 고등학교 졸업자 채용을 늘리면서 학력 파괴에 앞장서고 있으며, 업종 특성상 인력 규모가 크지 않는 여성, 장애인 등의 채용 기회를 넓혀나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하반기에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고등학교 졸업자 100여명을 뽑아 자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 전문 엔지니어, 프로젝트 관리 등 중공업 분야의 전문가로 육성할 방침이다.
두산도 하반기에 대졸 신입사원 1천여명과는 별도로 고졸자 채용도 크게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마이스터고 등과 지원협약을 맺어 맞춤교육 후 취업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올해 하반기에만 약 250명을 생산직으로 선발하는 현대중공업그룹은 현재 장애인 고용비율이 법정 기준을 훨씬 뛰어넘은 약 2.9%에 이르고 있다.
현대중공업처럼 장애인 고용비율이 법정 기준을 넘은 기업도 있지만 기준에 미달해 장애인 고용 분담금을 내는 기업이 아직 많은 것은 개선 과제로 남아 있다.
고용노동부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민간기업의 절반가량인 53.4%가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충족했으며, 30대 대기업 계열사들은 미이행률이 69.9%에 달해 장애인 고용 대신 부담금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그룹 관계자는 "제조업의 특성 때문인지 아직은 장애인 채용 비율이 1% 안팎으로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장애인에게 맞는 업무를 발굴해 채용하기로 하는 계획을 세우고 장애인 고용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