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충청권

 충청권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활성화를 위해 연내 추진조직을 마련해 관련 정책을 시행할 방침이다.

 충남도는 충청권 지자체 중에서도 가장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자체로는 처음으로 동반성장협의회를 구성하고, 전자·자동차·철강·석유화학·건설 등 5개 분과위를 발족했다. 동반성장협의회는 삼성전자 등 5개사와 중소기업 대표 6인, 기업지원 기관·단체 대표 및 경제학 전문교수 7인 등 19인으로 구성됐다.

 충남도는 △협력업체 역량 개발 지원 △공정거래와 성과 공유를 통해 상호 신뢰 구축 △열린 혁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투자 확대 등 충남형 동반 성장 모델을 정립하고, 공정거래 질서 확립 등 4개 분야 14개 사업을 확정했다.

 정부와 연계한 협력추진과제로 △납품단가 조정체계 구축 △자의적 납품대금 감액 및 구두 발주 방지 △중소기업 기술보호 강화 △2~3차 하도급법 적용 범위 확대 등을 추진 중이다. 도 자체적으로는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 강화 △중소기업 맞춤형 토털 지원 △연구개발(R&D) 기술지원 △중소기업 현장 애로 해소 등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달 30일에는 삼성전자 등 도내 18개 대기업과 82개 중소협력업체와 공동으로 동반성장 협약을 갖고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환경을 조성했다.

 대전시는 국장급 중 1명을 동반성장 담당관으로 지정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동반성장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건설, 유통, 공공구매 등 3개 분야로 나눠 각각 관련 대기업과 중소기업, 관련 협단체로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조직이 갖춰지는 대로 현재 추진 중인 대기업의 하도급 계약 등 행정지도를 강화해 지역 건설업체를 보호할 방침이다. 또 관내 대형유통점의 지역 중소기업 제품 구매 확대를 유도,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도 확대한다. 대전시는 올해 도입한 BSC((Balanced Score Card) 성과관리 공동지표를 통해 공공기관 구매실적을 체크하고, 지속적으로 구매목표율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충북도는 오는 19일 동반성장협의회 발족식을 갖고, 구체적인 동반성장 정책 방향을 수립할 계획이다. 동반성장협의회는 충북도지사를 비롯해 대기업, 중소기업, 학계 및 관련 기관 관계자 20여명으로 구성된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