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을 지역에 유치해야하는 입장에서 볼 때 지자체가 동반성장에 대해 독자적인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기는 쉽지 않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에 중소기업을 위한 협의체 구성과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춰 동반성장을 모색했다.
대기업을 겨냥한 중소기업인들 요구사항을 적절히 전달하면서 동시에 중소기업을 중견기업으로 키우는 것이 동반성장 및 공생발전에 실효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구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위해 오는 10월초 대구동반성장협의체(가칭)를 구성할 예정이다.
시가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동반성장 관련 정책은 없지만 협의체를 구성해 회원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게 목적이다.
또 이르면 올해 안에 경제관련 부서 내에 기업 간 동반성장을 지원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담 조직을 신설할 계획이다.
경북도도 오는 10월 중 대기업 협력사를 구성원으로 한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도는 그러나 무엇보다 지역 내 삼성전자와 LG, 포스코 등 대기업과 원만한 관계를 위해 동반성장이라는 이유로 규제를 주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보다는 중소기업 제품 우선 구매, 해외 홍보마케팅, 판로지원, 글로벌 경쟁력 강화사업 등을 통해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도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지원 정책 중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경북 프라이드(PRIDE) 상품육성지원사업’은 다양한 기술과 마케팅 지원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동반성장을 위한 지자체만의 정책은 사실상 없다며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을 적극 유도하면서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