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재난대비용 특약보험 1%에 못미쳐, 재난시 큰 피해

화재, 침수, 지진 등 자연재난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기업에서의 재난대 비용 특약보험 가입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 19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자연재해리스크 관리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09 전체 화재보험 가입건수(146만2000여건) 중 풍수재(지진, 침수 등) 특약에 가입한 경우는 8000여건으로 전체 가입건수에 0.6%에 그쳤다.

2010년 또한 풍수해보험 가입률은 12.8% 수준에 머물러 국내 경제주체들의 풍수해 등 자연재해리스크 노출에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국내 풍수해 리스크 대비 보험가입률이 낮은 원인으로 관련 재원 부족과 리스크 관리 의식 부족을 꼽았다.

이와함께 지난 2009년과 2010년에 지원금이 조기 소진되는 사례가 속출하는 등 고정된 지원금으로 더 이상 보험가입률을 높이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또 현재 국내 경제주체들은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인식이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최근에는 도심내 집중호우가 잦아지면서 자연재해 리스크 노출지역이 기존 수해지역 이외의 지역까지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등 위험인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고 지적하고 있다.

보소연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책보험 관련 재원 확대 및 자연재해리스크 관리에 대한 교육 및 홍보 강화, 화재보험 가입시 자연재해 특약 의무화 등의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소연 측은 “자연재해 리스크를 개인의 리스크가 아닌 사회연대적 리스크임을 인식하도록 관련 교육과 홍보가 시급”하다고 설명하며 “정부 및 보험회사들 간의 정보 공유 및 협조를 통해 손해보험회사들이 자연재해 특약 상품 관련 정보를 집적하고 관련 인력을 확보하는 등 언더라이팅(가입심사) 능력을 배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난포커스(http://www.di-focus.com) - 이정직 기자(jjlee@di-f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