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리의 핏줄이 지렁이처럼 얽히고 울퉁불퉁 튀어나오는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의 판막에 문제가 생겨 혈관이 피부 표면으로 도드라지는 질환이다. 보통 종아리부터 증상이 시작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위로 올라가며 사타구니 부분까지 진행되기도 한다.
처음에는 다리의 피로감과 부종이 가끔 나타날 뿐 별다른 증상은 없다. 하지만 점차 다리가 무겁고 아프기 시작하면서 결국에는 푸른 혈관이 튀어나오게 된다. 이를 방치할 경우에는 경련, 부종, 피부색 변화, 피부 궤양, 혈전 등의 합병증을 불러올 수도 있다.
하지정맥류는 주로 40대 이상의 중년이나 노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도 옷차림이나 생활습관 등 때문에 정맥류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젊은 층의 경우 정맥류의 원인으로는 비만과 무리한 다이어트, 다리 꼰 자세, 변비 등 평소 생활 습관을 들 수가 있다. 하지정맥류는 혈액순환 장애나 정맥 벽에 쌓인 과도한 지방으로 인해 발생하기 쉽기 때문. 이밖에도 장시간 동안 서있는 경우에도 원활한 혈류를 막아 정맥류를 일으킬 수 있다.
구 연세SK병원인 연세에스병원(www.ysskh.com)의 정맥류클리닉 소동문 원장은 만약 하지정맥류 증상이 나타났다면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증상 초기라면 특수 제작된 의료용 압박 스타킹으로 어느 정도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며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늘어난 혈관에 경화제를 주사하여 망가진 혈관을 굳혔다가 서서히 몸 속으로 흡수시키는 혈관경화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만약 직경 4mm이상의 굵은 혈관이 튀어나올 정도로 정맥류가 심한 경우에는 혈관경화요법만으로 치료가 힘들기 때문에 레이저 치료를 받아야 한다. 레이저 치료는 정맥류가 있는 부분만 국소마취를 한 후 혈관 안으로 레이저 선을 넣어 망가진 혈관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소동문 원장은 “정맥류는 한번 발병할 때 굵은 혈관, 가는 혈관 할 것 없이 모두 망가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혈관의 크기에 알맞은 다양한 치료법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시행해야 재발률을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자칫 이렇게 위험한 질병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는 하지정맥류의 발생을 미리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에 평소 올바른 생활습관으로도 사전에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이 연세에스병원 정맥류클리닉의 조언이다.
우선 장시간 다리를 움직이지 않고 서있으면 정맥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되도록 서있는 시간을 줄인다. 불가피하게 오래 서있어야 할 경우에는 다리에 힘을 주었다 뺐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발목회전 운동, 종아리 스트레칭 등을 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걷기나 수영,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가벼운 운동도 도움이 된다.
비만과 변비 역시 정맥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고 변비 치료는 가급적 빨리 받는 것이 좋다. 또 소금 섭취를 줄이는 한편, 섬유소가 많은 곡물이나 신선한 야채, 과일을 많이 먹어 혈액순환을 돕고 취침 시에는 발 아래에 베개를 놓아 다리를 심장보다 약간 높게 만든다.
연세에스병원의 심영기 원장은 “하지정맥류는 한번 발생하면 자연적으로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일은 없고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이라면서 “다리에 피부질환이 발생했는데 오랫동안 낫지 않거나 자주 다리가 붓고 통증이 있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하고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연세에스병원 정맥류클리닉 심영기, 소동문 원장)
전자신문미디어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