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 채권단, SKT에 인수 희망 기업 참여 동의 여부 묻기로

 새로운 하이닉스 인수 희망 기업 참여 여부가 SK텔레콤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하이닉스 채권단이 SK텔레콤 측에 이에 대한 동의를 구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대신 채권단은 매각 일정 연기는 고려하지 않기로 해 현실적으로 새 업체 등장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이닉스 채권단 관계자는 21일 “SK텔레콤 측에 다른 업체의 입찰 참여 여부에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밟기로 했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하이닉스 매각 주간사인 외환은행은“M&A 과정에서 추가 인수 희망 기업에도 참여 기회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채권단은 매각 일정 연기는 없다고 못 박았다. 다음 달 24일로 예정된 본입찰과 이로부터 1주일 뒤에 있을 주식매매계약(SPA)도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매각 일정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합의했다”며 “더 이상 일정을 미룰 수 없다는 게 채권단 내부 판단”이라고 말했다. 또 “구주와 신주 비율, 구주 프리미엄 등 기준도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채권단의 이 같은 결정은 매각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채권단은 지난 20일 실무자 회의에서 단독입찰에 따른 법적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매각이 이미 두 차례 유찰된 바 있어 국가계약법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문제는 SK텔레콤만 남은 상황에서 ‘특혜 의혹’이나 공정성 시비가 불거질 수 있어 추가 인수 희망 기업에도 참여 기회를 부여키로 했다.

 하지만 다른 기업이 입찰에 참여해도 SK텔레콤과 STX에 주어진 7주간의 예비실사 기회는 얻지 못한다. 뒤늦게 뛰어든 업체로 인해 일정이 지연되면 또 다른 공정성 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새로운 업체가 인수전에 뛰어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일정 연기도 없고 예비실사 기회도 얻지 못할 상황에서 새로운 업체가 등장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창규기자 k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