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일반 기술직의 20%를 특성화고 졸업생으로 채용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회장 이중구, 이하 경경련)는 21일 경기도 수원시 소재 경기도청에서 ‘특성화고 졸업생 취업 확대 및 교육기부 확산’을 위한 공생발전 협약을 체결했다.
경기도는 능력 중심의 공정사회 구현을 선도하기 위해 일반 기술직 중 공업·농업·해양수산·보건직렬 신규 채용의 20%를 고교 졸업자로 채용하고, 시〃군도 신규 채용 인원의 20%를 고졸자로 채용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이번 경기도의 고졸채용 확대 계획은 그간 중앙부처의 고졸채용 확대가 지방자치단체로 확산되는 첫 사례다. 중앙부처의 기능직 위주 채용을 일반 기술직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기도교육청도 올 하반기까지 기능인재추천제를 도입하고, 2012년부터 기능직 신규채용의 50% 이상을 특성화고 졸업자로 채용할 계획이다. 또 특성화고 채용을 50% 이내로 한정하던 규정을 50% 이상으로 개정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신용보증기금, 나노소자특화펩센터도 각각 신규채용 인원의 50%, 10%를 고졸자로 채용하기로 했고, 경기도 소속 공공기관도 기관 상황에 따라 고졸채용목표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공공기관 평가항목에 고졸채용목표제 운영 관련 사항을 포함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경기도의 일자리지원센터와 경기도교육청의 취업지원센터를 연계하고, 채용박람회, 기업 순회설명회를 공동 개최하는 등 경기 지역의 고졸채용 분위기 확산에 나서기로 했다.
또 경기지역의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을 지역발전에 기여할 우수 지역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기업, 공공기관 등 사회가 보유한 다양한 자원들을 학교 교육에 활용하는 ‘교육기부’를 위해서도 경기도가 적극 나서기로 했다.
교과부는 지자체, 교육청, 지역 기업 등 지역사회 전체가 교육기부를 위해 협력하는 경기도의 모델을 전국적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