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독자 모바일 운용체계(OS) ‘바다’를 오픈소스 형태로 개방한다. 누구나 이 OS 기반 스마트폰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개방 시점은 내년이 유력하나, 빠를수록 좋다. 세계 모바일 OS 전쟁이 벌어진 상황에서 늦어질수록 세를 얻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애플과 구글이 모바일 OS시장을 양분한 것은 개방 덕분이다. 수많은 외부 개발자가 만든 앱을 이용해 세를 불렸다. ‘바다’ 개방도 같은 맥락이다.
‘바다’는 삼성에게 최후의 카드다. 외부 OS를 종속돼 최악의 상황에 몰릴 때 꺼낼 카드다. ‘바다’ 덕분에 삼성은 구글 안드로이드 폰 시장에 맘 편히 집중할 수 있었다. 구글이 덜컥 모토로라를 인수했다. 카드를 꺼낼 시점이 온 것이다.
쉽지 않다. 칩 개발사, 스마트폰 업체, 앱 개발자들은 시장을 양분한 구글과 애플 OS을 받아들였다. 이제 MS OS로 시선을 옮긴다. 이른바 ‘멀티OS 전략’이다. “지금도 OS가 많은데 왜 `바다‘를 채택해야 하느냐”는 의문을 삼성이 말끔히 해소시키지 못하면 세 확산은 실패한다. 선발주자보다 더 파격적인 지원을 해야 하는 부담도 크다. 삼성은 구글 안드로이드폰 진영 맹주다. 자칫 구글 관계가 나빠질 수도 있다.
여러모로 쉽지 않은 게임이다. 그래도 삼성이 꼭 해야 할 일이다. 삼성이 차기 격전지인 스마트TV시장에서 또다시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그렇다.
문만 연다고 다 되는 일이 아니다. 외부 개발자를 이용하고 활용하는 게 아니라 도와주고 섬기겠다는 열린 마음이 없으면 곧 바닥이 드러나게 돼 있다. 삼성전자는 ‘바다’ 개방을 계기로 열린 혁신을 가속화하길 바란다. 어쩌면 이는 삼성에게 ‘바다’ 개방보다 더 중요한 일인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