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은 지식콘텐츠 수집과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오픈액세스 정책 수립 및 실천모델을 개발하는 등 오픈액세스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지식생산국인 미국은 국가 차원에서 가치 있는 지식정보를 보존해 귀중한 정보의 유실을 방지하고 자원화하기 위해 국가 차원 지식콘텐츠 인프라 구축과 함께 오픈액세스 방식 정보공유를 확대하고 있다.
미국 대표적 공과대학인 MIT는 2009년 3월 오픈액세스 의무화 방침을 공포하기도 했다. MIT는 교수가 강의하는 코스웨어와 저작 논문 등을 아카이빙해 공유하고 있다. 영국은 7개 연구위원회 협력기관인 영국학술연합협의회(Research Councils UK)에서 오픈액세스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스페인도 국가연구위원회 산하 사이버메트릭스연구실이 매년 두 번씩 세계 리포지터리를 조사해 지식콘텐츠 축적량 및 확산 정도 등에 따라 리포지터리 순위를 발표하는 등 오픈액세스 확산에 적극적이다. 이밖에 벨기에·스웨덴·스위스·스페인·아일랜드·호주·이탈리아·캐나다·프랑스 등도 공공기금을 받은 지원기관의 오픈액세스 기탁을 의무화하고 있다. 개발도상국도 예외가 아니다. 소로스재단 지원을 받아 지난 2008년 15개국이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에 착수했다.
유럽 오픈액세스 주요 프로젝트인 ‘셰르파(SHERPA)/줄리엣(JULIET)’이 지난해 수집한 55개 해외 공공기금 기관 오픈액세스 정책을 분석한 결과, 46개 기관이 오픈액세스를 의무화하고 있다. 나머지 기관도 오픈액세스를 장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대학·공공기관 등의 오픈액세스 정책을 모아놓은 사이트인 ROARMAP(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y Material Archiving Polices)에 따르면 올 8월 현재 학술논문 의무제출(mandates)을 규정한 리포지터리가 350개, 의무제출 시행 예정인 리포지터리가 27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 세계 오픈액세스 저널을 서비스하는 스웨덴의 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약 7천종의 오픈액세스 저널이 출판 및 서비스 되고 있으며, 이중 우리나라는 36종으로 세계 랭킹 35위를 기록해 일본의 34%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세계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 구축도 가파르게 늘어 약 2천개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