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기가 싸늘하다. 금융위기가 실물경제로 급속히 번져가는 양상이다. 각종 조사 예측치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9월 기업경기실시지수(BSI)는 81로 나타났다. 지난달에 비해 1포인트 상승했다지만 사실상 정체 또는 하락에 가깝다. 지난달 BSI가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9월은 통상 연말 성수기를 앞두고 기업 활동이 왕성해지는 시점이다. BSI 급반등이 예상됐지만 그렇지 않았다. 글로벌 금융 위기가 실물경제로 확산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기업인들 사이에 고조된 셈이다.
삼성, LG, 현대 등 민간경제연구소들은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정부보다 최대 0.9%포인트까지 낮춰 잡았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고용을 내년에 늘리겠다는 기업이 지난해보다 절반 정도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도 경기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온통 비관적인 전망이다. 지난달 본란(08월 10일자 26면)을 통해 제기한 우려 그대로다.
기업은 스스로 알아서 대응한다. 문제는 정부 정책이다. 정부는 글로벌 금융 위기에 우리나라까지 휩싸이지 않도록 각종 대책을 마련 중이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하지만 외환 등 당면한 금융위기 관리 대책만 몰두한다. 벌써 퍼지기 시작한 실물경제 대책엔 손을 놓고 있다. 일자리 축소와 실업난 가중, 소비 위축, 중소기업 자금난 등 곧 불어 닥칠 실물경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안 보인다. 일부는 벌써 시작됐다.
청와대는 다음 주 부활한 비상경제대책회의 첫 회의를 갖는다. 기획재정부 중심의 경제부처간 경제정책조정회의도 위기관리대책회의로 바뀐다. 발등에 떨어진 불인 금융 위기 대책을 집중 논의할 것이다. 하지만 외풍을 아무리 잘 막아내도 내부 기반이 무너지면 정말 대책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