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뇌과학 기술영향평가 진즉 했어야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국과위)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올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로 ‘뇌-기계 인터페이스’와 ‘뉴로피드백(Neurofeedback)’을 뽑았다. 두 기술 모두 뇌과학 분야의 총아다. 과학계는 뇌와 기계(컴퓨터) 간 정보 교류를 일으키는 두 기술을 이용해 인간 능력을 나아지게 하고, 신체·정신 장애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컴퓨터로 뇌파조절훈련을 하는 뉴로피드백은 이미 생활 가까이에 있다. “어린이 학습장애는 뇌기능 문제여서 ‘뉴로피드백’으로 학습 집중력과 성적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돈다. 뇌가 특정영역에서 비효율적인 활동을 할 때 뉴로피드백을 통해 정상적인 유형으로 바로잡아 준다는 것이다. 이게 자녀 교육열을 타고 온갖 상품으로 포장돼 시장에 넘친다.

 뉴로피드백 유행에 문제가 없을까.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기는 한 것인가. 국과위가 뉴로피드백을 기술영향평가 대상으로 선정한 것도 같은 이유다. 부작용과 윤리·문화적으로 보완할 점이 없는지 살펴보기로 했다. 자세하고 빈틈이 없게 평가해 기술의 바람직한 연구·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바란다.

 뇌과학은 인간의 대표적인 미개척지다. 아직 치매와 자폐증 같은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혹시 뇌의 일정 부위 때문이지 않을까’ 하는 가정을 밝혀내려는 수준에 불과하다. 1000억개가 넘을 것으로 추산되는 뇌 신경세포가 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신경세포에 얽힌 단백질이 몇 종이나 되는지 여전히 감감하다. 이쯤이면 겸허한 연구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효능이 검증되지 않은 상품이 우후죽순으로 유행해선 곤란하다. 상품화는 뇌기능 해석·측정의 부정확성과 안전 문제부터 해결한 뒤여야 한다. 진즉 기술영향을 평가했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