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10개 중 4개는 함량 미달

심평원 2010년 전국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 결과

고령화 진전과 함께 뇌졸중과 치매 환자를 주로 치료하는 요양병원이 급속도로 늘고 있지만, 이들 병원의 시설과 서비스는 여전히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만성 노인성 질환자를 진료하는 전국 782개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적정성을 평가한 결과, 213개 기관(27.2%)이 4등급, 103기관(13.2%)가 5등급을 받는 등 10개 요양병원 중 4개 가량이 함량 미달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최우수 등급인 1등급에 해당하는 기관은 78개(10.0%), 2등급은 140개(18.0%), 3등급은 234개(29.9%)였다.

이번 평가는 시설, 인력, 장비 등 치료환경 중심의 2008년 평가와 달리 감염관리와 소방점검 등 환자안전 인프라와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확대 개편해 실시됐다.

그러나 13개 기관은 10개 진료지표 미달 등 평가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아예 등급에서 제외됐고, 올해 처음 평가를 받은 171개 기관 가운데 절반에 육박하는 75개(43.9%)는 4∼5위 등급을 받았다.

항목별 평가내용을 보면 안전손잡이 설치율은 45%에 그쳤고, 응급호출시스템 구비율은 53.6%에 머물렀다.

그나마 바닥 미끄럼 방지시설 설치율은 75.7%, 바닥 턱 제거율은 62.9%로 다소 높은 편이었다.

기본의료장비 설치율은 전반적으로 높아졌으나 아직도 산소공급 장비(미설치율 0.3%), 흡인기(〃 0.5%), 심전도 모니터(11.8%), 혈중 산소포화도 감시장비(4.1%) 등을 전혀 설치하지 않은 기관도 일부 있었다.

의료서비스 부문에서는 당뇨환자에게 당화혈색소(HbA1C) 측정을 한 기관이 2009년 42.8%에서 70.2%로 대폭 개선됐다. 그러나 이 검사를 전혀 하지 않은 기관도 53개(6.9%)나 있었다.

배설과 관련해서는 소변줄을 중환자 모두에게 삽입한 병원도 있는 것으로 지적돼 장기간 삽입시 요로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소변줄 삽입을 줄이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심평원은 치료환경(구조)과 의료서비스(진료내용) 부문에서 하위 20%로 분류된 기관을 6개월간 건강보험 입원료 등 수가 가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할 예정이다.

또 맞춤식 상담 등을 통해 기관 간 수준차이를 줄이는 한편, 국민이 요양병원 선택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평가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평가 결과는 심평원 홈페이지(www.hi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