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테크노파크가 기관설립 9년만에 처음으로 대대적인 조직 수술에 나섰다.
대전테크노파크는 지난달 29일 팀장급 이상 간부진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갖고 대규모 조직개편 방안을 도출했다. 4단 5센터를 1단 3본부로 전환하는 내용이 골자다.
현 정책기획단은 그대로 두고 기업지원단, 소프트웨어사업단, 지역경제활성화사업단 3개단과 고주파센터, 로봇센터, 바이오센터, 나노소재센터, 대전지식재산센터 5개 센터를 본부 체제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본부는 크게 IT융합산업본부, 나노융합산업본부, 기업지원본부로 나눠진다.
IT융합산업본부는 현 고주파센터와 로봇센터, 소프트웨어사업단이, 나노융합산업본부는 나노소재센터와 바이오센터가 각각 배치된다. 기업지원본부는 지역경제활성화사업단, 기업지원단, 대전지식재산센터를 한 데 묶는다.
인력 이동도 점쳐진다. 대전테크노파크는 현재 정규직과 계약직을 포함해 전체 구성원이 150여명에 달한다. 그동안 조직 구조상 비효율적으로 배치된 인력을 적재 적소에 재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번 개편은 대전테크노파크 기관 내부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03년 기관 모체인 대전시첨단산업진흥재단으로 출범 후 9년간에 걸쳐 기관 몸집이 크게 커졌지만 이렇다할 조직 변화는 없었다. 외부 환경변화에 맞춰 조직이 늘어나기는 했어도 전체적으로 사업 및 조직의 효율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센터와 사업단 등 각 조직이 수평적으로 나열돼 특정 사안이 터졌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정책적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점이다. 당장 내년부터 전략산업이 선도사업에 통합됨에 따라 해당 육성 산업군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센터별로 일일이 대응하기 힘들다는 점도 이번 조직 개편의 주요 이유가 됐다.
태생적 문제도 있다. 다른 지자체와 달리 테크노파크로 전환된 지 3년 밖에 안 된데다 정부의 신지역산업전략에 따라 각 특화센터별로 매년 추진해온 기술지원사업이 내년부터 광역권 위주로 재편되면서 사업 수주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대전테크노파크는 이번에 도출한 조직개편안을 토대로 외부용역 경영진단에 들어갔다. 최종 결과는 오는 11월 말쯤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경영진단은 조직활성화 방안 및 지역전략산업 중장기 발전전략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대전테크노파크 관계자는 “정부의 광역경제권 연계산업 육성 방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 체제로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경영진단이 이뤄지는 대로 보완 작업을 거쳐 내년 1월부터 새로운 조직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테크노파크 조직 개편안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