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부산시민 기후변화 인프라에 대한 인식 제고가 먼저"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부산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부산 중구 충장대로 부산항만공사에서 허남식 부산시장의 안내로 북항 재개발 조감도를 살펴보고 있다.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부산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부산 중구 충장대로 부산항만공사에서 허남식 부산시장의 안내로 북항 재개발 조감도를 살펴보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유치하려면) 부산 시민의 인식이 바뀌고 인프라를 먼저 만들어야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부산항만공사를 방문, 지역 인사들과 오찬을 함께한 자리에서 탄소배출권거래소를 부산에 유치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건의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이 대통령은 “건물을 만들려면 비용이 들고 과연 그것을 거래하는 물량이 되는 지 등을 생각해봐야한다”면서 “앞으로는 모든 나라가 탄소(배출권)를 거래하는 시대가 오는데 국제간 거래도 빨리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냥 거래소가 있어 거래하는 게 아니고 400만 시민의 인식이 있어야한다. 가정에서부터 기업, 공공기관 모든 데가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에너지도 줄이고 하는 인프라가 돼야 각 국 사람들이 ‘이런 도시에 가서 해야겠다’고 하지 않겠냐”고 지적했다.

 탄소배출권거래소는 부산시와 한국거래소(KRX)가 부산에 본사를 둔 증권선물거래소를 주축으로 추가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반면 전력거래소는 기능과 특성상 자신들이 유치하겠다며 서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부산 신공항 유치 좌절 이후 김해공항의 국제선 노선 부족 및 청사 확장 문제가 부각된 데 대해 “국제선이 부족하면 (국제선 청사와 이착륙 시설을) 증축하는 게 좋겠다”면서 “시간을 끌면 안 되고 기간을 단축해 청사도 증축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부산-울산 전철 복선화 사업에 대해서는 “기왕에 해줄 것이면 빨리 해주는 게 좋다. 시간을 끌면 예산만 더 든다”면서 “하기로 했으면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라”고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부산이 제 2의 경제중심지가 돼야한다”면서 “그래야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3~4만달러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섭섭하다 이런 얘기 하지말고 일류도시가 되도록 더 힘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이날 이 대통령의 부산 방문은 지역경제 현안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지만 부산저축은행 사태와 동남권 신공항 건설 무산 등으로 악화된 지역 민심을 다독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인사와의 오찬에 이어 중소기업인들과의 간담회, 산업현장 시찰, 영화의 전당 개관식 참가 등의 일정으로 치러졌다.

 이 대통령 수행은 정부에서는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이, 청와대에서는 백용호 정책실장, 김대기 경제수석, 강남훈 지식경제비서관, 한미숙 중소기업비서관 등이 했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