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열풍은 개인 모바일기기를 업무에 활용하는 ‘모바일 오피스’ 시대를 열었다. 가트너에 따르면 기업의 모바일기기 투자 비용은 지난해 약 4800만달러에서 5년 안에 6200만달러까지 상승할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국내 기업 대부분은 모바일 시스템 개발에 착수, 메일 등 기본 업무부터 가능하도록 했다.
모바일 오피스는 ‘스마트워크’ 핵심 키워드가 됐지만 문제는 국내 기업이 답습할 만한 선례가 없다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모바일 오피스 구현 수준은 국내 기업들이 가장 높다. 최근 정부에서도 스마트워크 센터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아직 문화·정책적 뒷받침은 미미하다.
올해 삼성·두산·롯데·현대차 등 국내에서 앞서 모바일 오피스를 접목해 스마트워크를 추진한 기업들을 분석한 결과 크게 △기업 문화와 정책 △모바일 시스템 개발 △보안 기술 세 가지가 ‘스마트워크’ 성공을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스마트 오피스’ 되려면 문화·정책변화 필수=기술적으로 완벽한 모바일 시스템과 최고정보책임자(CIO)라도 문화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빛 좋은 개살구다.
가장 큰 변화가 동반되는 ‘변동좌석제’가 대표적 사례다. 중앙화된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완벽한 모바일 업무 환경이 갖춰져도 안되는 것이 있다. 고위 임원이 옆에 앉아도 거리낌없이 업무를 보거나 토론할 수 있는 ‘수평적 문화’, 자리에 앉아 있는 시간이 아닌 ‘성과’ 위주 인사 제도 개선이 바로 그것이다.
올 상반기 이후 변동좌석제를 확산하고 있는 포스코·KT 등은 CEO까지 좌석을 지정하지 않는 마이크로소프트 등 해외 기업과 달리 ‘하이브리드’형을 택했다. 포스코는 상무 이상급, KT는 본부장 이상급은 기존처럼 따로 공간을 배정했다. 변동좌석제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SK텔레콤과 현대하이스코 등 다수 기업 역시 유사한 방식을 택할 예정이다.
수평적 문화 혁신을 확산하고 있는 스마트워크가 자칫 임원과 직원만 분리하는 공간 절약형 제도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가능한 한 높은 직급 임원까지 동참하도록 권유하는 것이 수평적 문화 창달 취지를 살릴 수 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사업장을 아우르는 모바일 출근 체크가 인정되지 않으면 육안으로 확인이 이뤄지기 때문에 ‘눈도장’을 위해 서로 근거리에 있어야 하는 한계도 타파해야 한다. 최근 선릉 포스코센터 업무 50%에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포스코 관계자는 “같은 부서 임직원은 근처에 있기 때문에 출근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다른 방식의 출근 체크는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삼성SDS는 스마트워크 제도를 확산하면서 인사상 불이익이 없도록 했다.
삼성SDS 관계자는 “본래 사무실이 아닌 ‘어댑티브 워킹존’으로 출근할 때 해당 사옥 출입구에 사원카드를 대면 자동으로 출근 인식이 되도록 시스템을 통합했다”고 설명했다. 정해진 시간에 출·퇴근하지 않으면 팀장에게 알람이 가지만 시간을 어기지 않는다면 별도 고지없이 어느 곳으로 출근했는지 공유된다.
유무선통합(FMC)을 도입할 때 사무실로 걸려온 전화도 스마트폰으로 연계됨에 따라 통신 요금 지원 기준도 이슈다. 사적인 전화가 사무실로 걸려와도 회사가 통신비를 지불해야 하는 모호한 경우, 공적인 전화에 개인이 통신비를 부담해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사례에 정책이 앞서 마련돼야 한다.
◇IT 개발은 장기적 관점에서=기존 업무 시스템을 모바일기기로 쓴다는 것은 스마트기기와 기업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DB 연동이 수반된다. 문제는 아직 많은 기업의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개발이 단기적 관점에서 이뤄진다는 것이다.
과거 옴니아로 윈도OS 기반 모바일오피스를 일찍 도입했던 기업이 안드로이드OS 기반으로 대거 재개발한 경우가 속출했다. 선도적으로 옴니아폰을 이용해 스마트폰 모바일 오피스를 구현했던 코오롱그룹 등이 그런 사례다.
이러한 문제가 계속되자 다양한 OS 적용을 표방한 기술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대안 기술로 나온 모바일기업애플리케이션플랫폼(MEAP)이 그런 경우다. 뒤이어 MEAP를 도입한 기업도 기대 이하 성능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은행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오류는 업무 시스템과 연동 문제를 간과하고 단말기 문제만 해결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는 분석이다. 다양한 OS를 커버하기 위해 ‘원소스 멀티유스’를 강조하는 MEAP 도입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다.
모바일 솔루션 기업 관계자는 “다양한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술은 모바일 업무 시스템을 개발하는 업무 비중의 20~30%에 불과하며 중요한 것은 기존 업무 시스템 연동 과정”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기업이 MEAP 도입 이후 또다시 시스템통합(SI) 등 추가 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동반하고 있는 것은 이 같은 사실을 간과해서다.
포스코 관계자는 “어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보다 어떤 업무를 모바일로 구현할 것인지를 먼저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1차 개발에서 정량적으로 효용성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업무에 우선 도입한 후 단계적으로 확산해나가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모바일기기와 OS보다 적용 업무 선정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PC 업무를 그대로 ‘모바일’로 옮기는 시도는 위험하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모바일에서 쓰기 쉽고 오류가 없는 업무에 맞춰 범위를 정해 10~20%로 압축하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많은 기업이 말하는 보안 기술 핵심은 ‘중용’이다.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입하는 모바일 업무가 보안 때문에 느려져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일부 기업은 한 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따로 비밀번호로 접근 제한을 풀어야 해 PC로 작업하는 것이 ‘빠르다’는 평가도 나온다.
아직 많은 기업이 메일에 첨부된 문서만을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최근 SK텔레콤, 포스코, LG디스플레이 등 많은 기업이 중앙 EDMS에 있는 문서를 확인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이에 강화된 EDMS 보안 정책이 필요해지고 있다.
<표> ‘모바일오피스=스마트 워크’를 방해하는 주요 3가지 요인
자료:업계 종합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모바일오피스=스마트 워크`를 방해하는 세 가지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