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프리보드, 이대로는 안된다

 벌써 1년이 훌쩍 지났다. 프리보드 활성화에 민·관·정이 한 목소리를 낸 게 작년 8월 말. 김용태 한나라당 의원이 이슈를 제기하자, 정부(금융위)가 약속했다. 당시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프리보드 역할을 활성화하고 확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안도 제시했다. 그러나 지금 바뀐 건 없다. 금융위 측에 묻자, “해외 금융위기 사태로 역량을 그쪽에 집중하다보니 프리보드 활성화는 후순위로 밀린다”는 답변이다. 업계는 좋은 변명거리를 잡았다는 비아냥이다.

 금융투자협회도 안타깝긴 마찬가지다. 최근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프리보드발전협의회’를 열었다. 1년만에다. 업계는 잔뜩 기대했다. 반응은 ‘특별한 게 없다’였다. 누구 눈치를 보는지, 활성화 방안은 공개하지 않았다. 참석자들에게도 ‘파기할 것’이라며 나눠주지 않았다. 협회 관계자는 “코스닥엔 시장 활성화를 위해 세제 지원 등 엄청난 혜택을 동시에 줬다. 협회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회의는 왜 개최하는지 궁금했다.

 엇박자다. 정부 한쪽에서는 창업을 외친다. 일자리, 차세대 성장동력 등 이유는 많다. 효과도 나타난다. 대학가뿐만 아니라 직장인들도 ‘창업’ 단어를 꺼낸다. 문제는 창업 후다. 얼마간은 정책(창업)자금으로 버틴다. 이게 떨어질 때쯤 문제가 불거진다. 외부에서 조달해야 하는데 마땅치가 않다. 시장에서 조달하려면 상장해야 한다. 프리보드는 제 기능을 못한다. 쳐다보지도 않는다. 코스닥을 보면 담이 너무 높다. 코스닥 상장 소요기간은 평균 11년. 신규 상장사 평균매출액은 477억원. ‘그림의 떡’이다. 피치 못하게 은행과 신용보증기관 문을 두드린다. 신용불량 멍에를 쓸 수 있음에도 말이다.

 출구(Exit)가 막혔다. 스타트업(Start-Up) 기업이 갈 곳이 없다. 이들이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 선택권을 넓혀야 한다. 그래야 우리 경제가 건전해지고 발전한다.

 프리보드를 금융위에서 중기청으로 이관하라는 목소리가 들린다.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중기청도 고민 중이란다. 다만 프리보드가 있고 금융시장이어서 부담을 느낀다. 밥그릇 싸움 비판을 인식한 듯하다.

 누구든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창업 확대가 오히려 부메랑이 돼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