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청년CEO 육성, 해외 인재 활용이 답이다

 새해 정부의 적극적인 창업 지원 확대와 함께 글로벌 청년창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IT기술 발전으로 국경 없는 창업이 가능해졌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경제영토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올해부터 글로벌 창업지원에 적극 나선 중소기업청은 △창업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사업 △청년창업사관학교 내 ‘글로벌 창업 전문과정 개설’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지정·육성 등을 추진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인재를 발굴해 현지에 보내는 현재의 지원 사업 외에 해외 유학생과 교포들을 창업으로 유인할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글로벌 창업은 아이디어와 기술력 외에 기획 단계부터 현지 문화와 트렌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언어능력과 현지 네트워크 자원도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현지 문화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유창한 언어능력, 현지 인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현지 유학생 및 교포가 글로벌 창업에 가장 적합한 인재라는 평가다.

 류창완 한양대 교수(글로벌기업가센터장)는 “많은 스타트업들이 해외 진출 시 현지 문화를 제대로 아는 구성원이 없어 어려움을 겪는다”며 “높은 현지 문화 이해와 뛰어난 언어능력을 갖춘 해외 유학생들을 창업 울타리로 끌어들이는 것이 창업인재 다양화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해외 인재들이 정작 국내의 뜨거운 창업 열기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국내에선 기업가정신 전파로 청년들의 창업 도전을 이끌고 이들의 성공을 도울 여러 지원책이 나오고 있지만 해외 유학생과 교포들은 이 같은 분위기를 거의 모르고 있다.

 현지 글로벌 기업 혹은 국내 복귀 후 삼성 등 이른바 대기업 취업이 이들이 그리는 미래의 대부분이다.

 해외 유학 중 입대를 위해 귀국했다 국내에서 창업한 최원석 둡(dooub) 대표는 “유학생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처우가 낮고 기회가 제한된 국내로 돌아올 이유가 별로 없다”고 말했다.

 그는 “창업에 뜻이 있다고 해도 국내 창업 열기와 우수 지원책을 대부분 잘 알지 못한다”며 “해외 인재를 대상으로 한 기업가정신교육과 창업지원정책 등이 있다면 창업을 통한 이들의 국내 유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산 타이드(TIDE) 대표는 “글로벌 창업에 적합한 해외 인재들이 창업이 아닌 단순한 취업을 선택하거나 현지에 눌러앉는 것은 국가적 낭비”라며 “이들을 창업으로 유인하는 정책이야말로 글로벌 청년CEO를 키우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미국 서부와 동부에서 현지 유학생과 교포를 대상으로 개최한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이들의 창업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적당한 지원책만 마련된다면 충분히 이들을 창업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진욱기자 jjwinw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