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수개월째 원장공석 사태로 파행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8월 3대 이상길 원장 임기 만료 이후 현재까지 책임자가 없다.
광주시는 강왕기 문화관광체육정책실장을 직무대리로 세웠지만 전문성 부재와 업무과중 등으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진흥원 직원들은 결제 때마다 차로 20분거리인 시청으로 달려간다. 이런 행태가 5개월째다.
입주기업 A대표는 “기관장은 진흥원 업무 한가지만으로도 벅찰텐데, 동시에 여러 일을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된다”며 광주시 처사를 꼬집었다.
원장 공석 사태가 장기화되자 곳곳에서 불만이 터져 나온다.
가장 큰 문제는 ‘창조와 도전’으로 대변되는 진흥원을 사실상 광주시가 지도·감독하면서 조직문화 자체가 ‘행정과 관리’형으로 변해간다는 점이다. 진흥조직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화가 된다는 것이다.
가까운 전남과 전북만 보더라도 진흥원장은 ICT 전문가 들이다. 박광진 전주정보영상진흥원장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장을 8년간 역임하며 대구지역 게임산업 붐을 조성했다. 김영주 전남문화산업진흥원장도 전문기관과 기업에서 잔뼈가 굵은 전문가다. 지난달 취임한 이효정 대전문화산업진흥원장 역시 베테랑 연기자 출신으로 문화콘텐츠회사도 경영했다.
올해 광주지역은 반드시 해야 할 굵직한 이슈가 널려있다.
CT연구원 광주유치를 필두로 진흥원 이전, CGI센터 구축 등 풀어야할 과제가 산적하다. 공무원이 여러 일하면서 안일하게 앉아서 해결할 수 있는 숙제가 아니다. 진흥원장 자리는 전문성과 자질이 중요하다. 지방 ICT기업을 지원하고 진흥시킬 그런 인물이 필요하다.
지난해 말 광주시는 해당 이사회를 열고도 기관장 임명에 관한 논의는 하지 않았다. ‘미래콘텐츠산업을 성장동력으로 삼겠다’고 선언했던 광주시의 행태가 걱정이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