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청년CEO 양성을 위해 준비했던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사업’이 백지화됐다. ‘본 투 글로벌’을 강조한 올해 정부 정책 방향에 역행한다는 지적이다.
16일 관계자에 따르면 중기청은 올해 2곳을 선정키로 했던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지정이 예산문제로 전면 무산됐다. 정부 부처 중에서 유일하게 ‘글로벌 창업’을 내세웠던 정책이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는 지적이다.
◇예산 발목잡기…‘백지화’=중기청은 종전 15개 창업선도대학에 5개 신규 선도대학을 추가해 20개 내외 ‘청년창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방침이었다. 추가 선발하는 5개 선도대학 중 2곳을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 글로벌 청년CEO 육성 전진기지로 활용할 복안이었다.
하지만 추가 선도대학 수가 3개로 줄면서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 계획은 없던 일이 됐다. 중기청은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지정 대신 지난해 수준 소규모 글로벌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창업선도대학 육성을 이해 신청했던 예산이 500억원에서 250억원을 줄었기 때문이다.
깎인 예산이 일정 수준에 도달한 창업자 지원을 위한 ‘맞춤형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에 배정되긴 했지만 글로벌 특화형 창업 유도라는 목적은 그 방향성을 잃게 됐다.
중기청 관계자는 “창업선도대학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고 글로벌 창업 지원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창업선도대학 추가 선정 쿼터와 대학별 지원예산이 당초 계획보다 줄어들어 내부에서도 크게 아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준비 대학들 허탈=글로벌 창업선도대학 선정을 준비하던 일선 대학들은 사업 무산에 허탈하다는 반응이다. 광주·대전·제주 외에서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지정을 준비하던 대학들 동요가 크다.
한 대학 관계자는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준비를 위해 지난 주말 중국 대학을 방문해 창업 협력을 논의하는 등 막바지 준비가 한창이었다”며 “그동안 스웨덴, 독일 등 유럽권 산업단지 교류 확대 등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유치 노력이 물거품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글로벌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백지화는 글로벌 창업자 육성이란 큰 줄기의 정책방향과 어긋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대학 관계자는 “글로벌 창업 역량을 갖춘 청년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는 정부와 중기청 판단은 시기적절했지만 결과적으로 실행력을 갖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정진욱기자 jjwinw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