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석탄개발사업 무기한 연기, 왜?

 몽골 타반톨고이 유연탄광산 개발사업을 비롯한 바가누르 탄광 청정석탄 기술개발 등 우리나라가 몽골에서 추진 중인 석탄 개발사업이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몽골 타반톨고이 유연탄광산 개발사업자 선정이 백지화된 이후 답보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아직까지 한국과 일본, 러시아로 구성된 컨소시엄 내 지분관계도 결론짓지 못했다.

 몽골 측에서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는 이유로 국가안전위원회(NSC)에서 사업자 선정을 무효화한 이후 올해 안에 재입찰에 들어간다는 소문만 무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연간 발전용 유연탄 소비량은 7800만톤(2011년 기준)에 달하고 제철소에서 쓰이는 유연탄도 연간 3000만톤이다.

 타반톨고이 광산은 제철 공정에 꼭 필요한 점결탄을 비롯한 64억톤의 광물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 미개척 3대 광산 중 하나다. 국제입찰을 진행한 찬키 블록 1광구에는 12억톤, 몽골 기업이 개발 중인 2광구에는 10억톤의 유연탄이 각각 매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3월 지식경제부가 몽골 정부와 양해각서(MOU)를 교환한 청전석탄 기술개발사업은 기술력 부족과 판로 확보 문제로 제자리걸음이다.

 당초 양국은 지난해 민간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3억달러를 투자해 바가누르 탄광의 저급탄을 고급탄으로 만들어 울란바토르시에 난방 및 발전용으로 공급하는 석탄 개질사업을 추진할 예정이었다. 석탄 개질 과정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디메틸에테르(DME)로 전환하는 사업과 이를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사업도 병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저급탄을 고급탄으로 만드는 기술은 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특허를 갖고 있을 정도로 기술이 확보됐으나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DME를 만드는 기술은 아직 실증을 거치지 않았다.

 고급탄과 DME 판로도 문제다. 몽골이 내륙에 있어 바다로 가져가기 어렵고 철도로 이송하는 비용을 어느 나라에서 부담할 것인지도 정해야 한다.

 몽골 측 태도도 협상 진행에 걸림돌이다. 지분 50대50으로 조인트벤처를 설립하기로 했으나 몽골 정부가 실제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 투자 지분을 줄이는 대신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광산개발 지분을 더 요구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몽골 측이 들어주지 않는 상황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몽골과 자원개발사업이 답보 상태인 것은 맞지만 재추진할 의지가 없는 건 아니다”라며 “양국 간 우호적 분위기 형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