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IT트렌드 윤곽이 드러났다. 스마트기기 확산으로 지난해에 이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위치기반서비스(LBS)가 두각을 나타낸다. 여기에 정보보호 및 보안, 클라우드서비스, 빅데이터가 주목된다. 업계는 IT트렌드에 따른 정부 정책방향에 관심을 나타낸다. 정부가 신시장 개척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펼쳐서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10대 IT트렌드를 바탕으로 올해 정부 정책방향을 내다봤다.
![[CIO BIZ+]올 IT트렌드로 본 정부 정책방향](https://img.etnews.com/photonews/1202/240560_20120203133832_026_0002.jpg)
◇스마트 사회 구현 나선다=`스마트 라이프 시대`가 올해 본격 개화할 전망이다. 스마트기기 확산으로 다양한 서비스·기술·콘텐츠가 개발 및 구현된다. 이에 맞춰 정책 개발도 뒤따른다. 스마트기기에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맞춤형 국민서비스 개발과 보급이 예상된다. SNS·LBS·근거리무선통신(NFC) 등 신기술과 결합해 교육·문화 등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 창출 촉진도 나선다. 일예로 올해 중앙정부·지자체가 구축하는 국가공간정보 인프라 규모가 370개 사업에 3356억원에 달한다. 이 예산은 공간정보 기반을 통합하고 `쉽고 편리한 공간정보 접근 지원` `공간정보기술 지능화` 등에 쓰인다. 업계 공간정보 기반 다양한 비즈니스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부 노력도 이어진다. 스마트워크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고 조직 비용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해서다. 정부는 2015년까지 공무원 30%, 노동인구 30%가 스마트워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근무 관련 제도 정비와 스마트워크 도입 기업에 대한 정부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될 전망이다. 여건 조성과 함께 CEO와 직원 그리고 정부당국과 기업 간 스마트워크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도 이어져야 한다.
◇스마트해지는 정책=SNS가 국민과 소통 창구로 활용된다. 트위터·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가 정보 공유 및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한 소통양식으로 부각돼서다. 정부는 SNS를 기반으로 소통 및 정책 제안 창구를 마련하고, SNS 이슈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그 결과를 정책수립에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오픈 플랫폼도 정보화 2.0의 대표적 서비스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기존 정보화가 효용성, 확산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앞으로 정보화는 개방·통합 등 가치 창출을 지향한다. 창의성이 중요해지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오픈플랫폼이 활용된다. 이는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전세계적으로 오픈플랫폼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목적달성 수단으로 활용된다. 정부는 오픈플랫폼을 사회에 확산시켜 국민 창의적 아이디어를 국가 현안 해결에 활용하게 된다. 올해 서울시는 공간정보와 GIS를 활용, 시민이 의견과 아이디어를 개진하고 해법을 찾는 `커뮤니티 매핑센터(가칭)`를 구축해 하반기에 서비스할 계획이다. 지역 현안을 잘 아는 시민이 문제점 제기와 해법을 해결하는 구조다.
◇스마트시대 부작용 해소=스마트기기 확산에 따른 부작용 해소에 정부가 나선다.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와 신기술이 결합한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로 정보보호 및 보안 필요성이 커졌다. 현재 알려진 것만도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개인정보 유출건수가 1억1977만명분에 달한다. 이들 유출 정보 대처방안을 찾아야 한다.
최동근 롯데정보통신 이사는 “과거에 나타난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보안 이슈가 계속 등장하고 있다”며 “인터넷뱅킹으로 자금이체하면 휴대폰 문자로 확인할 수 있지만 개인정보가 유출되면 휴대폰 번호를 바꿔버려 확인조차 안된다”고 문제의 심각성을 들었다.
정부는 해법을 고민하고 있다. 행안부는 공인인증서만으로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전자정부서비스 본인확인수단`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시범사업을 실시해 내년 개인정보보호 필요성이 큰 전자정부서비스부터 단계적으로 바꾼다. 해킹 등으로 개인 인증서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이를 활용해 개인정보를 빼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보안 강화 방안으로는 인증서 대신 보안토큰 사용, 인증서에 `2채널 인증` 함께 적용(복합인증), 인증서에 `PC등록서비스` 함께 적용(복합인증) 세 가지를 검토하고 있다.
◇신사업 창출 정책=`클라우드` `빅데이터`. 올해 크게 화두가 될 서비스와 현상이다. 정부는 이들 이슈와 관련된 정책개발에 나선다. 공공부문에서 클라우드서비스 도입은 민간 시장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란 분석이다.
행정안전부와 정부통합전산센터는 클라우드PC 시범사업을 지난해 말부터 진행 중이다. 행안부 정보화 부문과 정부통합전산센터 인력 170명(PC 170대)을 대상으로 전개 중이다. 중앙 클라우드 서버는 정부통합전산센터에 설치했다. 공공부문에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과정에서 이용자 보호 정책 개발 및 효율적 활용 촉진에 정부가 나서면 이는 시장 확산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빅데이터 시대 도래에 따른 정부 대응도 예상된다. 데이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지난해 1.9제타바이트(ZB)를 넘어섰다. 앞으로 5년간 데이터량은 9배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미 산업계가 빅데이터 활용에 나섰다. 빅데이터 분석툴로 수많은 정보 중에서 기업이 원하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재가공해 전략적으로 활용한다. 정부도 마찬가지다. 빅데이터를 국가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한다. 정부 자체 보유 정보에 민간 정보를 더해 새로운 경제가치 창출도 가능하다. 이런 움직임은 해외에서도 나타난다. 미국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는 정부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지식으로, 지식은 행동으로 변환하는 전략에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정부가 선도적으로 데이터를 통합해 수집·분석하고 인프라와 조직 등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면 산업계도 빅데이터의 창조적 활용에 나설 것이란 예상이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