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 2020년 35%로 확대

현재 20% 수준에 불과한 해양플랜트(원유를 발굴·저장하는 해상구조물) 기자재 국산화율을 오는 2020년 35%로 끌어올린다.

지식경제부는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 제고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조선해양산업의 동반 성장을 목적으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해양플랜트 기자재산업 활성화대책`을 13일 발표했다.

우리나라가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작 원가 52% 가량을 차지하는 기자재 국산화율이 낮아 대표적인 외화내빈 산업으로 지목되기 때문이다.

정부 대책 발표에 따르면 정부는 국산화율이 낮고 개발 시 파급효과가 큰 100대 전략품목을 선정하는 `해양플랜트기자재 기술개발 로드맵`을 상반기 수립, 지원에 나선다. 미래산업선도사업 일환으로 2012년 ~2017년 심해자원 생산용 해양플랜트 기술개발에 2430억 원 지원한다.

시험인증 기반, 전문 인력 양성 등 지원 기반도 확충한다. 해양플랜트기자재 전담 연구기관인 `해양플랜트 기자재 R&D 센터`를 오는 하반기 부산 미음지구에 설립·운영한다. `기자재 시험인증 센터`도 상반기 준공해 시험평가를 진행하고 내년 고급기술 전문 인력 양성센터도 세울 예정이다.

기자재 산업의 시장 진출도 지원한다. 기자재 국산화 개발이 완료되었지만 벤더리스트에 미등재된 품목을 발굴해 오일메이저에 등록하는 것을 지원한다.

지경부 측은 “국내 기업의 해외 해양 플랜트 수주 증가는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절호의 기회이지만 발주처 보수적인 구매 관행, 기자재 시험인증 및 수행실적 요구 등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해 대책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기자재 산업 활성화 일환으로 13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한국가스공사,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과 `해양플랜트 기자재산업 육성 및 발전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