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디지털 장비만 들여놓으면 된다. `스마트교육`을 표방한 정부와 학교의 인식 수준이 딱 이 정도다. 2015년까지 3조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사업이 제대로 될 것인지 걱정이 앞선다.
스마트교육 시범학교로 선정된 30개 학교가 `스마트교실` 구축 사업자 선정을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보니 온통 하드웨어다. 컴퓨터, 전자칠판, 영상시스템, 전자교탁 등이다. 90년대 추진했던 멀티미디어교실 수준이다.
정작 필요한 디지털 교과서 개발은 없다. 클라우드와 같은 교육서비스, 온라인수업을 활성화할 기반 조성 작업도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 새 하드웨어만 잔뜩 가져다 놓고 무슨 교육을 어떻게 하려는 것인지 궁금하다. 나중에 기술 환경이 바뀌어 쓸모없는 장비가 될 가능성도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애초 계획과도 맞지 않는다. 교과부는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적용, 온라인 수업 활성화, 클라우드 교육서비스 기반 조성을 핵심과제로 명시했다. 일단 하드웨어부터 갖춰놓고 콘텐츠를 천천히 갖춰도 된다는 건가. 하드웨어조차 없는 학교라면 이해하겠다. 그런데 스마트교육 시범학교들이다. 단순히 학교 잘못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 철학과 이해 부족 때문이라고 여길 수밖에 없다.
애플은 올해 디지털 교과서를 핵심 사업으로 추진한다. 교육사업의 핵심을 짚었다. 우리는 외국보다 좋은 디지털 교육 인프라를 보유했다. 그런데 정작 콘텐츠에 대한 인식과 준비는 미흡하다. 외국보다 스마트교육을 더 더딜 가능성이 높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자아내는 e북을 우리 학생들만 못 본다.
교과부는 시범학교 점검을 통해 그릇된 방향을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 그래야 콘텐츠가 없어 멀쩡한 장비를 놀리거나 다시 바꾸는 일이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