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외채 중 단기외채 비중이 1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21일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총외채는 3984억달러로 전년 말보다 390억달러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외채 비율은 35.9%였다.
단기외채는 1361억달러로 1년새 36억달러 줄었다.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34.2%)도 4.7%포인트 낮아져 지난 2001년 말(33.2%) 이후 가장 낮았다. 단기외채 규모도 2007년 1분기 말(1300억달러) 이후 최저치다.
장기외채는 2623억달러로 426달러 증가했다. 경제·무역 규모 확대에 따른 외화자금 수요 증가, 외국인의 국채 투자 확대 등에서 비롯됐다.
대외채권 잔액(4964억달러)도 통화당국의 준비자산 증가,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 증가 등으로 454억달러 늘었다.
총외채보다 대외채권이 더 크게 늘어 순대외채권 잔액(대외채권-대외채무)은 980억달러로 1년새 64억달러 증가했다.
GDP 대비 총외채 비율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5%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주요 신흥국가보다는 높지만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
권상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