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어느 벤처기업인의 죽음

최은석 디스트릭트 대표는 촉망받은 벤처기업인이었다. 지난해 말 세계 첫 4D 테마파크로 대통령상을 받았다. 그 전에도 독창적인 멀티미디어 디자인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가 최근 출장지인 미국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유서 확인이 안 돼 이유를 알 수 없다. 개인 문제일 수 있다. 벤처 투자 유치 후 스트레스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아직 추정이다. 다른 이유이길 바랄 뿐이다. 만일 그 것이 원인이라면 우리 벤처 문화를 되돌아봐야 한다. 벤처기업인 모두 공감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벤처기업인들은 투자를 받은 이후 빨리 성과를 내야 한다는 생각에 쫓긴다고 한다. 투자자가 재촉하지 않아도 이렇다니 얼마나 성공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지 짐작케 한다. 고 최 대표는 150여억 원을 투입한 사업 성과가 저조하자 상심했다고 한다.

벤처는 기본적으로 성공 확률이 높지 않은 사업이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사업이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 벤처 문화에선 성공 압박이 심하다. 외국 벤처기입인도 성공 스트레스를 받지만 우리나라처럼 무조건 성공해야 한다는 강박관념까지는 아니다. 벤처에 대한 그릇된 시각도 그렇지만 성공하지 못하면 실패자 낙인이 찍히는 사회 풍토가 작용하는 셈이다. 이를 바꾸지 않으면 이런 일이 언제든 또다시 일어날 수 있다.

지난해 3월 한 코스닥 등록 벤처기업 대표가 경영 악화에 상장 폐지까지 몰리자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그 때엔 더 복잡한 사건이 겹쳤다. 디스트릭트의 경우 투자자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고작 두 사건으로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벤처기업인 스스로 느끼는 스트레스가 더 심해진 것은 아닌가 의문이 든다. 불행한 일이 또 생기기 전에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를 빨리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