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텀에벌루션(LTE)폰 시장이 개화하면서 LTE특허 평가를 두고 업계 간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21일 글로벌 컨설팅 그룹 톰슨 로이터와 글로벌 특허평가 전문업체인 AOP(Article One Partners)가 공동으로 분석해 발표한 `LTE 필수 표준특허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LTE 특허 경쟁력에서 노키아와 퀄컴, 삼성전자가 나란히 1~3위를 기록했다.
이 결과는 지난해 미국 투자회사 제프리스앤코가 발표한 순위와 다르다. 제프리스앤코는 LG전자가 LTE특허 가치 1위라고 발표했다.
LTE 필수 표준특허 전망 보고서는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에 등록된 3116건 LTE 특허들을 표준특허와 관련성과 특허 가치와 직결되는 유효성 면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담았다.
전체 특허 출원 숫자는 퀄컴이 454건으로 가장 많았고 노키아(396건)와 인터디지털(302건), 에릭슨(287건), 삼성전자(284건) 등이 뒤를 이었다.
표준특허 관련성과 특허 유효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경쟁력 점유율 면에서는 노키아(18.9%)와 퀄컴(12.5%)이 1·2위를 기록한 가운데 삼성전자가 12.2%로 3위를 차지했다. 에릭슨(11.6%)·LG전자(7.5%)·인터디지털(6.7%)·모토로라(6.3%) 등의 순이었다.
이와 달리 지난해 제프리스앤코 자료에 따르면 LG전자 LTE특허 가치가 79억 달러로 1위에 올랐다. 비율로 23%에 이른다. 뒤를 이어 퀄컴이 21%, 모토로라 9%, 인터디지털 9%, 노키아 9%, 삼성전자 9% 등의 순이었다.
LG전자 관계자는 “통신분야에서 특허 이슈는 주로 단말기 분야에서 발생한다”며 “제프리스앤코는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유효특허`라는 표현을 쓰면서 LTE 단말기 특허 순위에서 LG전자를 1위로 평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