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26, 27일 이틀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가 원전 이슈와 철저히 분리돼 치러진다. 사상 최대 정상외교 이벤트인 이 행사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고 있는 `원전 반대` 기류와 충돌로 얼룩지게 할 수 없다는 것이 정부 의지다.
![이명박 대통령이 2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 핵안보정상회의 준비기획단을 방문, 기획단 관계자와 자원봉사자들에게 박수를 보내며 격려하고 있다.](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2/02/27/250665_20120227153212_212_0001.jpg)
이명박 대통령은 27일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한 관계부처 합동 핵안보정상회의 준비위원회에 참석, “이번 핵안보정상회의는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한 (평화)회의”라며 “대한민국에서 G20회의에 이어 핵안보정상회의를 여는 것이 굉장히 의미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윤상직 지경부 1차관은 “핵안보정상회의와 원전 이슈를 철저히 분리하겠다. (이번 회의가) 세계적 평화 회의지 원전 논의가 아니라는 것을 부각시키겠다”며 “소통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원전을 포기하면 가구당 늘어나는 전기료 부담과 신재생에너지 등 대체에너지의 높은 발전단가 문제를 적극 설명하겠다는 것이다. 원전을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 등 세 가지를 대국민 홍보 포인트로 삼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원전 선진국과) 완전히 대등한 기술을 가지게 됐다는 것은 대단한 성취”라며 “관련 인력을 양성하는 데 부처나 관계 국책기업에서 관심을 많이 갖는 게 좋겠다”고 주문했다.
회의 후 이 대통령은 핵안보정상회의 준비기획단 자원봉사자 사무실을 방문, 조헌장 터키 담당 자원봉사자의 안내로 각국 정상들의 부스를 일일이 돌며 국별 자원봉사자들을 격려했다.
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