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산업 도시로 불리는 대전시의 산업 지원 정책이 경쟁력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정부가 지원하는 지역 사업이 경쟁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해지는 양상이다. 예전처럼 나눠주기식 사업은 줄이되 경쟁력을 갖춘 지자체와 광역경제권에 더 많은 지원이 돌아가도록 하겠다는 정부 방침 때문이다. 바람직한 정책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이러한 정부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오히려 대전시 입지는 점차 줄어드는 모양새다. 가장 큰 문제는 지역 산업 발전을 견인할 치밀하고 참신한 기획력과 추진력이 다른 지자체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최근까지 이어지는 정부의 각종 지역 사업 지원 규모를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한 프로젝트당 지원규모가 수 천억원에 달하는 정부의 예비타당성(예타) 사업에 대전시는 한 건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부끄러운 일이다.
대전시의 가장 큰 강점은 IT, SW, 로봇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최고의 우수 인재와 기술력, 인프라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지자체들이 늘 부러워했던 인프라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어느 지역보다 잘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도 대전시는 지역 첨단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조차 만들지 못했다. 기획력 부재다.
2300여억원대 예타 사업으로 선정된 대구시의 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이나 6000억원대 규모로 선정된 대구시와 광주시의 3D 융합사업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열악한 여건 속에서 이들 지자체들은 더 많은 노력과 기획력으로 정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같은 문제점을 인식한 대전테크노파크는 올 초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가장 큰 목적은 기획력을 강화해 대규모 국책사업 유치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것만으로 부족하다. 대전시도 함께 힘을 보태야 한다. 좋은 인프라만 강조해서는 `밥`이 나오지 않는다. 지역 산업계를 위한 대전시의 적극적인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