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급변하는 업무환경 대처를 위해 대대적인 정보시스템 수술에 나섰다. 지난해 5월 270억원 규모 차세대시스템 구축에 착수한 것이다. 심평원은 의료기관이 청구한 진료비 심사와 진료가 적정하게 이뤄졌는지를 평가하는 기관이다. 과거 대비 관계된 의료기관이 급증해 현재 8만2948개에 이른다. 진료청구서를 받는 방식도 바뀌었다. 과거 종이문서에서 전자문서교환(EDI)으로, 이제는 포털로 데이터만을 주고받는다. 차세대시스템 구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심평원 정보화를 총괄하는 김성규 정보통신실 실장을 만났다.
![[CIOBIZ+]김성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보통신실 실장](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2/03/09/254559_20120309100427_823_0001.jpg)
“올해 정보화 전략은 성공적인 차세대시스템 구축 입니다.” 김성규 실장은 심평원 출범 이래 최대 규모로 진행되는 차세대 프로젝트 성공이 올해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심평원 차세대 프로젝트는 기존 7개 지원별로 구축한 심사·평가·기관운영 정보시스템을 통합, 재구축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서버(CS) 기반을 웹 기반으로 전환하기도 한다. 차세대 프로젝트는 작년 5월 착수해 지난 1월까지 업무프로세스재설계(BPR)와 정보시스템 설계를 완료했다. 현재는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평가시스템과 인사·법규·교육·회계 등 기관운영시스템은 올해 말 완료한다. 심사시스템은 내년 8월 가동 목표다.
김 실장은 “심평원 차세대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라며 “이미 설계 단계부터 현업 사용자 중심으로 워킹그룹을 20여개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워킹그룹은 심사·평가·기관운영 영역별로 구성돼 차세대시스템 설계 및 개발 시 다양한 의견을 제시, 반영하도록 했다.
차세대시스템을 가동하면 먼저 업무처리 속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복잡한 응용시스템 정비로 업무처리 속도 및 효율성이 30~40% 나아진다. 메모리 및 분당 트랜잭션 처리능력은 3배, 네트워크는 10배 증대된다. 스마트 서비스 등 최신IT기술 적용 위한 인프라도 갖춰질 것으로 예상한다.
심평원은 오는 2014년 말이나 2015년 본원을 강원도 원주로 이전한다. 원주 이전은 차세대시스템 구축 배경이기도 하다. 본원이 원주로 이전하게 되면 상당부분 원격으로 심사와 평가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CS기반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수원·창원 등 7개 지원에 분산돼 있는 정보시스템을 통합해야 하는 이슈도 있다. 시스템이 산재돼 있다 보니 각 지원간 데이터 공유가 이뤄지지 않아 업무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는 본원에는 종합병원 대상, 지원에는 병원급 이하 의료기관 대상 심사 및 평가업무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두고 있다.
김 실장은 “차세대시스템을 가동하면 지원에 있던 데이터센터는 모두 없어지게 된다”며 “원주 본원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통합시스템을 둘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심평원은 차세대시스템을 가동하고 원주 이전을 완료하면 스마트워크 환경도 구축한다. 모바일 기반 업무시스템이나 영상회의시스템 등을 갖추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
심평원이 차세대 프로젝트만큼 역점을 두고 진행한 사업이 있다. 진료비청구포털시스템과 의약품안심서비스(DUR)시스템 구축이다. 진료비청구포털은 의료기관이 의료급여비용을 청구할 때 인터넷으로 심평원에 직접 송신하고 심사결과를 통보 받는 시스템이다. 포털시스템 구축으로 과거 KT EDI 서비스를 이용할 때보다 의료기관은 연간 18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 EDI 서비스는 중계수수료를 의료기관이 부담해야 하지만 진료비청구포털서비스는 무료다. 이달 초까지 전체 청구기관 중 51%인 4만500개 기관이 이용하고 있다. DUR시스템은 의사와 약사가 약을 처방·조제·판매할 때 내용을 심평원 정보시스템과 연결된 전산망에 입력하는 형태로 이뤄져 있다. 김 실장은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먹으면 안 되는 약, 중복 투여되는 약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해준다”고 말했다.
심평원은 최근 정보보안에 나서고 있다. 차세대 프로젝트로 외부 인력이 상당수 상주하게 됨에 따라 내부통제와 데이터 보안을 강화했다. 외부 개발인력은 개발서버만 접근하게 하고 테스트 데이터도 가상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도록 했다. 외부인력 대상으로 보안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올해 중견·중소 의료기관 대상으로 정보화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됐지만 상당수 중소 의료기관은 대응이 미흡한 상황이다. 담당인력도 상당수 부족하다. 김 실장은 “많은 예산이 필요한 사업이라 한꺼번에 대대적으로 하기는 힘들지만 중소 의료기관이 개인정보보호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사진=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김성규 정보통신실 실장은 서울대 수학교육학과를 졸업해 1982년 의료보험연합회에 입사했다. 이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 자리를 옮겨 진료정보분석실장, 대구지원장 등을 거쳐 지난해 7월부터 정보통신실장을 맡아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