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없는 줄기세포…한국서 드디어 개발!

국내 연구진, 체세포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직접 전환 성공

국내 연구진이 체세포에서 신경줄기세포로 직접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자기재생능력을 갖춰 세포치료가 가능한 줄기세포를 배아줄기세포로 되돌리는 과정 없이 체세포로부터 직접 얻을 수 있게 됐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세포치료가 갖고 있던 한계인 면역 거부반응과 난자 이용시 윤리문제, 암 발생 가능성 등을 극복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건국대 줄기세포교실 한동욱 교수팀과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가 공동으로 `유도신경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다.

이번 연구는 체세포를 성체줄기세포로 직접 역분화한 첫 번째 사례로 기존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가 가진 문제점인 암 발생 가능성을 극복한 데 의의가 있다.

한 교수팀은 생쥐의 피부세포에 신경줄기세포와 연관된 4가지 특정 유전자를 삽입해 실제 뇌 조직에서 나온 신경줄기세포와 유사한 세포를 얻고 유도신경줄기세포라고 명명했다.

한 교수는 “이 유도신경줄기세포는 시험관에서 1년 이상 장기배양이 가능해 자기재생능력을 갖췄다”며 “분화를 유도하면 무한증식해 천문학적인 수의 세포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얻은 유도신경줄기세포를 생쥐의 뇌 조직에 주입하고 관찰한 결과 어떤 종양도 형성되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신경세포로 분화가 가능했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전 세계 세포 연구자들은 최근 역분화를 유도하는 특정 유전자를 삽입해 체세포의 운명을 다른 체세포로 직접 바꾸는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피부세포에서 신경세포를 직접 얻는 식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로는 세포치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세포를 확보할 수 없었다. 세포들이 이미 최종 단계까지 분화돼 자기재생능력을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험관에서 배양해도 일정기간 이상은 어려웠다.

한 교수는 “앞으로 유도신경줄기세포를 임상시험 하는 등 추가 연구로 뇌질환과 척수손상 환자 치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전문지 셀(Cell)의 자매지인 `세포줄기세포지(Cell Stem Cell)` 온라인판에 주요논문으로 최근 소개됐다. 이 학술지의 인용지수는 26.967점으로 줄기세포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연구를 다루고 있다.

gol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