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일선 중소기업이 자금난에 허덕이는 가운데, 2분기에는 은행 문턱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12일부터 23일까지 산업,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은행을 조사해 3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조사) 결과`를 보면 대출수요지수는 23으로 2008년 4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출수요지수는 0을 기준으로 -100~100까지 분포한다. 지수가 높을수록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는 의미다.
특히 중소기업의 대출수요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대출수요지수는 직전분기 22에서 9포인트 오른 31을 기록했다. 이는 고유가 등 영업여건 악화에 대비한 자금수요로 보인다.
반면, 올해 2분기 은행의 대출태도는 2009년 4분기 이후 가장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1분기 7보다 4포인트 떨어진 3을 기록했다. 2009년 4분기 이후 최저치다. 이 지수가 낮을수록 은행이 대출을 꺼린다는 이야기다.
특히 자금이 가장 필요할 것으로 나타난 중소기업에 오히려 박해졌다.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전분기 13에서 9로 감소했다.
신용위험지수 역시 크게 높아졌다. 종합 신용위험지수는 전분기 13에서 25로 두배 가까이 커졌다. 이 지수는 높을수록 신용위험이 크다는 의미다.
특히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지수는 28을 기록해 2009년 3분기 31에 이어 가장 높았다. 건설, 부동산 업종의 잠재적 부실위험과 경기전망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다.
가계신용위험지수 역시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데다 소득여건 개선이 지연되며 1분기 9의 3배 가까운 25를 기록했다.
한은은 “은행들이 대내외 경기둔화 영향으로 신용위험 상승 우려가 커지면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대·중소기업의 대출수요지수 비교
자료: 한국은행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