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최우선 해결분야 `유해화학물질 피해저감`

환경부는 화학물질 국민인식도 조사 결과 국민들이 `유해화학물질 피해저감`을 최우선 해결분야로 선택했다고 6일 밝혔다.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 결과 31.3%가 유해화학물질 피해저감을 환경부의 최우선 해결분야라고 답했다. 쓰레기 오염과 대기오염이 각각 19.8%로 다음 순위를 차지했으며, 수질오염·토양오염·소음과진동 등이 뒤를 이었다.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우려 정도는 공장·소각시설 관련 화학물질(35.7%)과 가정용품 관련 화학물질(27.0%)이 가장 높다고 답했다.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해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38.1%)하며, 다음으로 기업체의 역할이 중요(24.6%)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우선정책과제로는 유해물질 사용금지 등 규제강화(32.3%)와 대국민 홍보·정보제공(27.5%)을 꼽았다.

이번 조사는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 인식수준을 파악해 위해성 관리 정책방향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됐다. 지난 2002년 조사한 결과와 비교해 10년간 변화된 국민 인식 수준을 파악한다.

이율범 환경부 화학물질과장은 “화학물질 위해성 등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제도강화 등 안전관리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며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정책이 마련되도록 다양하고 선진화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