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가 에너지 효율화의 대안이다] (상) 버려지는 전기 되살리는 ESS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세계 ESS 시장 전망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신재생에너지 분야, 분산전원과 연계한 전력망 안정화 및 최대부하 관리 등이 가능해 에너지 효율의 대안으로 꼽힌다. ESS 활용도가 늘어나면서 2~3년 내 2차전지 시장의 소형 분야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외 ESS 산업을 집중 분석하고 국내 시장 활성화와 해외 경쟁력 강화에 대해 3회에 걸쳐 게재한다.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전력난 해소를 포함한 에너지 효율화의 필수 대안으로 꼽힌다. 지금까지 전기공급은 발전소를 통해 수용가(가정·빌딩 등)에 일방적으로 전달, 남은 전기는 고스란히 버려졌다. 낮 시간에 비해 전기소비가 적은 야간에 전력사용을 권장하는 게 효율화의 유일한 대안이었다. 하지만 리튬이온·납축전지를 채용한 ESS가 개발되면서 버려졌던 전기를 활용한다는 개념이 가능해졌다.

남호기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ESS는 지금까지 단방향으로 공급만 했던 전기를 필요에 따라 시기적절하게 다양한 전력계통으로 보내거나 저장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화 대안”이라며 “공공기관과 대형건물의 비상발전기 설치 의무화부터 일정부문을 ESS로 전환한다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은 물론이고 국내 시장 활성화를 통한 해외시장 경쟁력 확보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의 건물이나 산업시설물 등에 의무 설치된 비상용 디젤발전기는 정전 발생 시 끊김 없는 전력공급에만 사용됐지만 ESS는 비상발전기와 달리 평상시에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연동, 예상치 못한 전력수요가 발생하면 전력공급의 공백을 실시간으로 메워준다. 밤 시간 때 잉여전력을 저장했다가 피크 때 활용하고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전기 생산을 고품질로 일정한 공급을 가능케 한다.

일본은 이미 ESS 보급을 통한 전력수급 안정화와 세계 중대형 2차전지 시장 섭렵에 돌입했다. 일본 정부는 경제산업성에 `축전지 전략 프로젝트팀`을 설치해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한편, 중대형 2차전지 연구개발 및 보급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을 오는 7월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2차전지 연구개발을 정부의 핵심 정책으로 삼아 기업과 대학 등 산·관·학이 공조할 연구개발센터 설립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일본은 올해부터 대규모 ESS 보급 사업도 진행한다. 지난해 말 210억엔(약 3090억원)을 책정해 오는 7월부터 가정과 상업시설에 보급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가 민간 사업자에게 예산을 지원하고 최종 소비자가 ESS 구입비의 3분의 1을 차감 받는 형태다. 시장 규모만 630억엔(약 9260억원)에 달한다. 도쿄시도 자체 예산 150억엔(약 2200억원)을 투입해 중소기업용 ESS 보급 사업을 발표를 앞두고 있다. ESS 보급을 통해 전력피크 해소와 정전 시 백업 대책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유도하고 ESS 설치 시 인센티브 제공 및 세제혜택 등 수정법안을 지난해 말 상원에서 발의했다. 이에 반해 한국은 ESS용 배터리 등 세계 2차전지 제조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강국임에도 시장은 열리지 않고 있다. 대구와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서 일부 소규모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못 내고 있다. 부족한 전력수요에는 공감하지만 전기요금 현실화와 정부의 강력한 보급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공통된 목소리다.


【표】세계 ESS 시장 전망 (단위:조원)

제공 : 파이크리서치

[`ESS`가 에너지 효율화의 대안이다] (상) 버려지는 전기 되살리는 ESS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