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서비스 사업 환경이 급변했다. 내년부터 다수의 IT서비스 기업은 공공 정보화 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 안정적 매출로 여겨지던 계열사 사업도 정부 눈치로 수주가 쉽지 않다. 시장 상황도 악화됐다. 통신회사 등 이종 기업이 앞다퉈 IT서비스 시장에 진출한다. 전통적인 시스템통합(SI) 사업은 수익성 한계에 직면했다. IT서비스 기업의 출구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하반기 IT서비스 기업의 대응전략과 과제를 점검했다.
◇공공정보화 참여 제한이 가장 큰 위협=IT서비스 기업에 가장 위협적인 환경변화는 소프트웨어(SW) 산업진흥법 개정안 시행이다. 내년 1월부터 55개 상호출자제한집단 소속 IT서비스기업은 공공정보화 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 대우정보시스템, KCC정보통신 등 일부를 제외한 IT서비스 기업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IT서비스 기업에 공공정보화 시장은 절대적이다. 공공과 금융 시장을 제외하면 사실상 그룹 관계사 대상 사업 밖에 없다. 대학 등 교육 시장도 있지만 규모가 매우 작다. 공공 정보화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면 대외 매출의 절반을 잃게 되는 셈이다.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기업은 삼성SDS·LG CNS·SK C&C 3사다. 그동안 전자정부 등 대형 공공정보화 사업을 대부분 수행했다. 대형 금융 정보화 사업이 없는 최근 공공 정보화 사업은 매출 확대에 핵심 영역이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인력을 채용해 조직 규모도 확대했다.
그룹 계열 중견 IT서비스기업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 지난해부터 대기업이 일정 규모 이하 사업에 참여를 제한받게 되면서 중견기업도 공공정보화 사업 조직을 확대했다. 한화S&C, 현대오토에버 등 중견 IT서비스기업의 공공정보화 수주 사례도 많이 늘었다.
◇일감몰아주기 과세·시장상황 악화=안정적 매출을 가져다 준 그룹 계열사 정보화 사업 수행도 어려워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SK C&C를 대상으로 `그룹 계열 일감 몰아주기` 관련해 제재를 가했다. 최근 다른 그룹 계열 IT서비스 기업에 일감몰아주기 관련 조사를 진행했다. 정부는 그룹 계열 IT서비스 기업의 일정 규모 이상 `일감몰아주기`에 세금 부과 방침도 정했다.
그룹 계열사 매출 비중이 50~80%까지 이르는 IT서비스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당장 계열사 매출 비중을 낮출 수 있을 만큼 대외사업을 확대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계열사 사업을 포기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시장 상황 악화도 IT서비스 사업의 한계다. KT·SK텔레콤을 비롯한 통신사와 대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업이 직접 IT서비스 사업을 수행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다. 금융·제약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IT 자회사를 만든 것도 시장 악화 원인이다. 단발성 시스템통합(SI) 사업의 수익 구조도 한계다. 프로젝트 납기가 지연되거나 인력 공급이 초과해 이뤄지거나 저가 경쟁으로 수주액이 낮아지는 경우 수익성은 더욱 떨어지게 된다.
IT서비스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 대내·외적으로 IT서비스 기업에게 부정적인 변화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스스로 변화를 모색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규 사업과 해외진출 확대 등 새로운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IT서비스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환경 변화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