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대선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차기 정부 조직개편 방안에 관심이 집중됐다. 박근혜 후보도 차기 정부 조직개편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박 후보는 새누리당 경선 때부터 클라우드 기반 통합공공정보시스템으로 국가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국가 미래전략센터` 구축 계획을 세워 내놓기도 했다. 국가 발전을 ICT 기반으로 이루겠다는 확실한 비전인 셈이다.
![[18대 대선후보의 디지털 비전과 전략]<1>박근혜-정부 거버넌스 밑그림은](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2/08/28/323354_20120828130257_476_0001.jpg)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박 후보가 지휘했던 4월 총선 당시 당이 정보통신미디어부 신설을 공약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과학기술 분야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박 후보는 과학기술 인력 우대정책을 강조한다. 지난해 11월 한 세미나에서는 각 부처에 혼재돼 있는 과학기술 정책을 통합, 조정하기 위해 과학기술 전담 부처를 설립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집권 시 과학기술부 상설부처화는 이미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는 수순이다.
건설교통부와 흡수 통합된 해양수산부도 부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연초 부산 방문 시 박 후보는 지역 주민들로부터 해양수산부 부활 건의를 받았다면서 해양수산 분야 발전을 위해 전담부처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설명했다.
지식경제부 장관을 역임한 최경환 의원이 캠프 총괄본부장에 이어 후보 비서실장이라는 중책을 맡으면서 지경부가 더욱 힘을 얻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일각에서는 ICT 독임부처 역할을 지경부가 맡는 것 아니냐는 조심스런 관측도 나온다.
본선까지는 여전히 차기 정부의 명확한 밑그림 보다는 이렇게 운영하겠다는 비전으로 국민을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보 상태에서 어느 부처의 부활이나, 폐기 또는 분리를 논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시점이기도 하다.
선거 승리를 위해 마지막까지 가는 승부에서 박 후보가 어떤 차기정부 조직 구상으로 표심을 흔드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그 조직이 과거형보다는 미래를 향해야 국민을 움직일 수 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