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금융 문턱이 낮아지고 있다. 세계적인 경기불황으로 특별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6%대의 낮은 이자율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몰려든 것이다.
30일 신재생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사업 자금 조달을 위해 추진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이자율이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프로젝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금융권이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1%가량 낮은 이자율을 제시하며 사업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PF의 이자율은 보통 7%를 넘었다. 대부분 7.5% 안팎에서 이자율이 논의됐으며 투자회수율이 낮은 사업의 경우 8%를 넘거나 PF 조성 자체가 안 되는 사례도 허다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신규 신재생에너지 사업 PF 이자율이 6%대에서 논의되고 있다.
A발전사는 지난해 태양광 사업을 진행하면서 7% 이상의 이자율로 PF를 조성했지만, 올해 추진하는 같은 설비 규모 태양광 사업에서는 5% 후반 또는 6% 초반의 이자율이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2곳에서 태양광 사업을 추진하는 B발전사도 각각 6.3%와 6.7%의 이자율로 PF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글로벌 경기불황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쏠리고 있는 점,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증가 등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올해는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가 시행된 첫 해라서 경기위축과 별개로 발전공기업 위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공기업 사업은 투자회수가 일정부분 보장되기 때문에 금융권이 이자율을 낮춰서라도 사업에 뛰어드는 것이다.
실제 한국전력 주도로 발전공기업들이 참여하는 서남해 해상풍력사업은 4%대의 파격적인 이자율 적용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정부가 이번 사업의 수익률 6.5% 보장을 약속한 점이 주효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발전사 한 관계자는 “불황으로 별다른 투자처가 생기지 않으면서 금융자금이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몰리고 있다”며 “사업 주체와 규모에 따라 이자율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금융권의 시각이 호의적으로 변한 건 분명해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간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는 별다른 이자율 변화가 없어 한계로 지적된다. 민간 태양광발전사업자의 경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판매 입찰에 성공한 경우에만 6%대 후반의 이자율을 적용받는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태양광 업계 한 관계자는 “REC 판매 입찰에 성공하지 못하면 민간 사업자는 아예 PF 대출이 어렵다”며 “공기업은 신용이 높기 때문에 이자율이 낮아지는 추세에 있는지 모르겠지만 민간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조정형·유선일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