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9월부터 `K뷰` 실험방송 강행...유료방송업계 “정식방송땐 결사반대"

지상파방송 KBS가 이달부터 11월까지 제주도에서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MMS) `코리아뷰(K-view)` 실험 방송을 시작한다. 그동안 유료방송사업계의 거센 반발로 답보 상태에 머물러온 MMS를 강행하기 위한 명분 쌓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KBS는 실험방송 성과를 바탕으로 난시청 해소, 디지털 전환율 제고 등을 명분으로 내세워 정식 방송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K뷰로 직격탄을 맞게 될 케이블방송·IPTV 등 유료방송업계는 물론 종합편성채널까지 거세게 반발할 것이 예상돼 MMS가 방송업계의 새로운 뇌관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2일 “KBS가 신청한 K뷰 실험방송 허가가 이번 주 안에 날 것”이라고 밝혔다.

KBS는 제주도 지역에서 5000대의 셋톱박스로 실험방송할 수 있도록 신청했으나 방통위는 셋톱박스 10대만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험방송 기간은 9~11월이다. HD채널 1개, SD채널 3개 총 4개 채널로 실험방송을 한다.

K뷰는 10만원 안팎의 셋톱박스만 설치하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 등 주요 방송(PP) 채널을 무료로 수신할 수 있다. 지상파 4사는 직접 수신율을 높여 난시청 지역을 해소하고 디지털 전환율을 높인다는 이유로 K뷰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K뷰 서비스가 허용되면 유료방송 수요를 잠식할 수밖에 없어 유료방송사업자가 거세게 반대한다. MMS는 최첨단 압축기술을 활용해 하나의 방송 주파수에 3개 이상의 방송을 내보낼 수 있어 또 다른 종합편성채널의 탄생도 예고해 프로그램 공급업체(PP)에서도 반발이 예상된다.

K뷰 실험방송 소식이 전해지자 유료방송업계는 이를 반영한 듯 깊은 우려감을 나타냈다. 한 관계자는 “K뷰가 공영방송 위주의 채널구성이라면 걱정이 안 되지만 유료방송과 채널 구성이 비슷하다면 유료방송의 존립 기반을 뒤흔들 수밖에 없다”며 “기술연구를 위한 실험방송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실험방송이 정식방송으로 이어지는 것은 결사 반대한다”고 밝혔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K뷰 실험방송 허가가 바로 정책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순수하게 기술 발전 차원에서 허가를 내줄 것”이라며 실험방송 허가가 상용방송 허가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못 박았다.

KBS 관계자는 논란을 의식해 “K뷰 실험 방송이 진행되는지 사실 자체도 확인해줄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KBS는 지난 2009년부터 무료 다채널 플랫폼으로 소비자가 디지털 전환의 혜택을 누려야 한다고 강조하며 K뷰를 추진했다. 하지만 유료방송업계가 존폐위기로 내몰릴 수 있다며 강력 반발하면서 지금까지 답보상태를 보여왔다.

김원배·전지연기자 adolfkim@etnews.com